우리가 쓴 것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남주 작가는 한때 <82년생 김지영>으로 전 국민을 들썩거리게 했던 논란의 아이콘이다. 나는 일부러 그 책을 읽지 않았는데도 남들이 다 말해줘서 무슨 내용인지는 알고 있다. 그리고 독자들이 왜 그렇게 비난을 했는지도 잘 안다. 나는 원래 좀 꼬인 사람이라 온통 칭찬글로 도배된 작품들은 의심부터 하고 본다. 그 반대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이다. 욕먹는 포인트를 알고는 있지만 감정이 일방적인 사람이고 싶지 않아서 그냥 안 읽는 쪽을 택했다. 그런데 이 작가의 신간이 나왔고, 나는 출판사의 서평 제안에 망설이지 않았다. 정말 논란의 작가인지 눈으로 확인하고 싶었다. 그래서 고전을 정독하듯 한 장 한 장을 차분하고 신중하게 읽었다.


정말이지 모든 이야기가 너무도 좋았다. 나는 저자의 따스함에 물들었고, 그 안에서 작은 인류애까지 느꼈다. <82년생 김지영>처럼 여성의 서사들을 한 권으로 엮었다. 할머니부터 어린 소녀까지 주인공이 되어 들려주는 속 사정은 멀쩡한 사고를 가졌다면 누구나 공감할만한 내용뿐이었다. 물론 이야기 어딘가에는 논란을 삼을만한 장면도 더러 있다. 남녀를 싸우게 하려는 글이 아님에도 꼬투리를 잡는 사람들은 인물을 그저 생물학적인 남자와 여자로만 인식을 해서 그렇다. 성별을 빼고 하나의 사람으로 바라본다면 딱히 문제 될 것도 없을뿐더러, 저자의 의도나 작품의 주제도 어렵지 않게 발견할 것이다. 모든 편마다 나이대에 겪는 애환과 고민을 담은 소설집인데 페미니즘보다는 휴머니즘에 가까워 나는 그렇게 좋았었나 보다.


등장인물마다 불리한 입장에 놓여있다 보니 누군가는 또 남녀 갈등 조장한다고 할지 모르겠다. 다시 말하지만 남자와 여자가 아닌 사람 대 사람으로 봐주길 바란다. 단편집 특성상 모든 내용을 리뷰할 수 없으니 공통된 점들만 짚어보자면, 작가는 잃어버렸던 혹은 잊고 있었던 자아를 되찾는 내용들을 다루었다. 인간은 혼자가 두려워서 관계를 맺고 집단에 소속되려 한다. 그 과정에서 나를 알아가고 동시에 나를 잃는다. 그래서 관계를 정리하고 다시 혼자가 되어 나를 찾는다. 속박의 관계가 단절되고서야 내가 이제껏 음지에 있었음을 깨닫고 양지로 나올 수 있게 된다. 자유와 평등은 생각만큼 멀리 있는 게 아니었다.


<오로라의 밤>은 남편과 사별한 아내와 시어머니가 과감히 해외여행을 나선다. <오기>는 악플러에게 시달리던 소설가가 자신의 상처를 작품화하여 두려움에 저항한다. <가출>은 집 나간 아빠의 권위에서 벗어난 엄마가 이제야 큰 소리를 뱉는다. <현남 오빠에게>는 도와준다는 명목으로 자신을 사육해오던 남친에게 이별을 선포한다. <여자아이는 자라서>는 성희롱한 반 남학생들의 문제를 통하여 모녀간에 세대 차이를 극복한다. 왜 그렇게 바보같이 참고 살았을까 싶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이야기들. 눈에 보이는 인물들의 감정선만 따라가지 말고, 관계에서 벗어난 뒤 찾아오는 변화에 더 집중하길 바란다.


산에 들어가 자연인으로 살지 않는 이상 모든 관계를 칼같이 자를 순 없다. 하지만 누군가로 인해 자신이 희미해지고 있다면 그게 건강한 사이가 맞는지 돌아봐야 한다. 만남이 제한되는 이 시국에 방치했었던 나를 돌아보고 홀로서기를 연습해보자. 남에게 의지하지 말고 어려운 일도 직접 해결해보자. 어느샌가 스스로를 꽤 괜찮은 인간이라고 여기게 될 것이다. 어쩌면 여태 우리가 써온 것에는 내가 없었다는 말을 작가는 하고 싶었던 게 아니었을까.


※ 출판사에서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