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의 음식을 먹는 여자들
로셀라 포스토리노 지음, 김지우 옮김 / 문예출판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치를 소재로 한 작품도 꽤 자주 출간되는 듯하다. 역사를 함부로 각색해선 안된다는 제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나오는 걸 보면 계속 눈길이 가는 선악과 같은 소재가 분명하다. 이 책도 그렇고 <아우슈비츠의 문신가>도 그렇고, 작가들은 은폐 사건들을 수면 위에 드러내려는 사명으로 펜을 든다지만 솔직히 그 사명만으로 책을 썼다곤 생각되지 않는다. 특히 민감한 역사를 다룰수록 더 그러한데, 어쩌면 세상 때가 많이 묻어서 그런지도 모르겠고. 현대인들은 역사 자료와 정보로 나치 정권의 폐해를 다 알고 있다. 그러므로 이런 책을 쓰려거든 알려진 내용은 간소화하고 주제를 부각시키는 데에 힘을 쏟아야 한다. 그것이 모호하면 주제 파악은커녕 나치의 독재나 전쟁의 아픔 같은 부수적인 것에만 주목하게 된다. 아쉽지만 이 책도 엄중히 말해서 후자이다.


<그것이 알고 싶다>의 제작진이 일 잘하기로 소문난 것은 주도면밀하게 사건의 진상을 파헤쳐서가 아니라 문제를 다각도에서 살펴보고 이해하려는 접근 방식에 답이 있다. 팩트만 전달하는 뉴스는 시청자의 생각을 가둬두기 때문에 개인의 의견을 확장시키지 못한다. 반면에 <그알>제작진은 육하원칙 중 ‘왜why‘에 집중적으로 파고들어 시청자가 자기만의 생각으로 사건에 개입할 기회를 준다. 그러면 사태를 인지한 시청자는 자연스레 문제에 참여하게 되고 각자의 생각이 모이다 보면 썩 괜찮은 해결안도 나오곤 한다. 문학도 이래야 한다. 독자가 직접 개입하도록 유도하는 저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안 그러면 독자는 저자가 떠먹여주는 것만 먹게 되고 그래서는 뉴스하고 다를 게 없다. 르포 형식이라면 모를까.


작가가 실제 했던 히틀러의 시식가 이야기를 각색했다. 히틀러의 음식 시식가로 강제 발탁된 열 명의 여자는 총통이 먹을 음식에 독이 들었는지 아닌지를 몸소 증명해야 한다. 죽을지도 모르는 음식 앞에서 육체의 배고픔은 너무나도 솔직하다. 이렇게 나치는 식욕이라는 인간의 약점을 이용해서 그녀들을 사형수로 만든 것이다. 나치의 추종자들은 총통의 은총이라 하겠지만 로자 일행은 생존이 더 중요했다. 따라서 이 작품의 주제는 욕망과 싸우는 인간의 존엄성이다. 기억해두지 않으면 옆길로 샐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


나치는 가족을 빼앗고 삶을 짓밟고 희망을 지웠다. 그 모든 일의 원흉인 총통의 목숨을 구해야 하는 로자. 어떻게 하면 목숨도 지키고 적들을 이길 수 있을까. 투쟁의 대상은 나치 일원이나 배고픔이 아니라 자신들을 둘러싸고 있는 시스템이다. 절대 바뀌지 않을 그 상황 가운데 갑작스러운 로자의 반격이 시작된다. 남편의 실종 소식에 이성이 끊어져 버린 그녀는 죽음을 향해 거침없이 뛰어든다. 친위 대원도 무섭지 않았고 총통의 음식도 거리낌 없이 삼켰다. 아이러니한 게 살고 싶다는 소망보다 죽고 싶다는 바램이 욕망과 맞서는 반작용 역할을 한 것이다. 그리하여 공포에서 해방된 로자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나치에게 선전포고를 하였다.


중반부터는 식욕의 이야기에서 성욕에 대한 내용으로 넘어간다. 전선에 투입된 남자들의 부재로 여자들은 남자의 손길을 그리워하고, 로자 역시 친위대 장교와 몸을 섞으며 정죄를 고독과 맞바꾼다. 죽음에도 저항했던 사람이 성욕 앞에 무릎 꿇은 것이다. 그녀는 그토록 자신이 증오하는 나치의 일원과 밀회하면서 오염된 스스로에게 정당성을 부여한다. 식욕은 죽음과 맞닿아있다지만 성욕은 그렇지 않았으니까. 그렇게 쾌락과 후회를 반복하며 천국과 지옥을 오가던 그녀는 끝내 지옥을 택한다. 될 대로 돼라,가 아니라 자신의 의도대로 행동한 것인데 앞전의 모습과 너무 상반되어서 이질감이 든다. 작가가 정녕 실존 인물을 생각하며 이런 설정을 했단 말인가. 이 책은 당사자의 일화를 빌려서 인간의 존엄성을 재조명하는 게 목적이다. 그런데 작가는 목적과 주제를 방해할 만큼 선을 넘고 있다. 아무리 각색이라지만 돌아가신 분에게 큰 실례이다.


초중반의 식욕 파트에서 보여준 페이소스는 정말 대단했다. 아쉽게도 성욕 파트부터는 그 맛을 볼 수가 없었다. <아우슈비츠의 문신가>도 이와 똑같았다. 메인 소재에서 서브 소재로 넘어가면서 방향이 틀어지고 탄력도 약해지고 재미도 급감한다. 이런 건 용두사미도 아니고 빛 좋은 개살구에 가깝다. 그럭저럭 끝이 났지만 김빠지도록 못 살린 스토리였다. 이러니 주제를 파악 못하는 독자 탓만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여튼 이 작품은 다시 한 번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질문을 던져보게 한다. 우리는 여태껏 삶의 가치를 높여주는 ‘무언가‘에만 주목해왔다. 허나 삶은 그 무언가가 충족되어야만 제 역할을 하고 존엄성을 갖추는 것이 아니다. 죽음을 몰아내려는 필사적인 본능이, 살고자 하는 강한 욕구가 있는 한 그것만으로도 삶의 가치는 주어진다. 즉 가치 없는 삶은 어디에도 없다는 얘기다.


이 책도 결국 사랑으로 마무리를 짓는다. 인류를 일으키고 구원하는 건 오직 사랑뿐이라는 흔한 결말. 이런 서사물들은 어쩜 그렇게 똑같은 수순을 밟는걸까. 이젠 그만 바뀔 때도 된 거 같은데 말이다. 작가들이 유연한 사고를 갖지 못하는 건 다 이유가 있다. 여튼 이래저래 쓴소리를 했지만 스토리텔링도 나쁘지 않았고 페이소스도 훌륭했다. 저자의 차기작이 나오길 기대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