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혜영 옮김 / 북폴리오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왕복서간‘의 리뷰에서 잔잔한 호수 같은 작가라고 했는데 완전히 틀렸다. 사냥감을 덮치기 직전 숨죽이고 있는 호랑이 같은 작가였다. 미나토 센세 작품은 독자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큰 편인데 결코 수준이 낮아서가 아니다. 그녀의 글들은 채찍질도 모자라 당근으로도 때리는 팩트 폭력으로 무장되어 있다. 사회의 민낯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날카로운 송곳으로 긁는듯한 문장들이 많은데 이런 반박 불가한 글을 견디기 어려워하는 유리멘탈 소유자들은 부담을 넘어서 상사에게 혼나는 듯한 느낌을 받을 것이다. 여하튼 이 작품은 작가의 포부답게 이것으로 끝장을 보겠다는 비장함이 가득하다.


딸의 회상과 엄마의 고백이 번갈아가며 진행된다. 어머니를 너무나 사랑하고 또 사랑받았던 주인공은 결혼 후 딸 가진 엄마가 된다. 그러나 자신의 딸보다는 어머니가 삶의 1순위였으며, 어머니가 손녀에게 주는 사랑과 관심은 자신만의 것이어야 했기에 딸에게 마음을 다 주지 못하고 반쪽짜리 모성으로 육아를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집에 불이 나서 어머니와 딸이 죽을 지경에 놓였을 때 주인공은 어머니를 구하려고 하나 어머니는 손녀를 구하라고 하고 혀 깨물어 자살한다. 이후 본격적인 시월드와 함께 별의별 산전수전 다 겪는 악몽의 나날이 시작된다.


작가는 묻고 있다. 모성은 원래 가지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생겨나는 것인가. ​자식을 낳고도 딸이 아닌 자신의 어머니에게만 사랑이 흐르는 주인공. 손녀를 향한 어머니의 사랑은 원래 내 것이라는 집착이 점점 커져가는 엄마와, 엄마에게 인정받으려고 고군분투하는 애늙은이 딸. 이 두 사람의 단추는 어디서부터 잘못 끼워진 걸까. 어머니가 주인공을 워낙 오냐오냐 식으로 키워서 애정결핍이 된 게 아닌가 싶지만 주인공도 이해가 되는 게, 시댁한테 사랑과 정을 많이 못 받아서 마음이 자꾸 친정으로 향했을 것이다. 어른이 되었어도 사랑받고 싶은 건 매한가지인데 그걸 채워주는 사람은 지금은 없는 자신의 어머니뿐이었다. 딸은 엄마가 있는데 나는 없어서 불공평하다는 이런 엄마의 모성도 모성이라고 할 수 있는가.


엄마의 말대로 따를 때와 따르지 않았을 때의 온도차를 보며 엄마가 기뻐할 행동만 계산하는 딸은, 마음에도 없는 말과 행동이지만 이렇게 해야 엄마가 자신을 잠깐이라도 사랑해준다는 것을 어렴풋이 배운다. 시댁에게서 엄마를 지키고자 했으나 자신의 행동들이 의도치 않게 매번 나쁜 결과로 돼버려 엄마는 시댁에게 미움을 사고 자신은 갈수록 사랑받지 못한 아이로 자라난다. 딸이 잘할 때면 자신을 닮아서 그런 거고, 못할 때면 시댁의 피는 못 속인다며 혀를 차는 엄마. 저 시댁 사람들도 팔이 안으로 굽는데 엄마의 팔은 왜 밖으로만 굽는 걸까. 할머니의 사랑은 무조건적인 사랑이었는데 엄마의 사랑은 왜 조건부 사랑처럼 느껴질까. 


많은 우여곡절 끝에 나름 해피엔딩으로 끝나지만 이런 식의 결말은 내가 바라던 게 아니었다. 이런 자비는 오히려 성의 없게 느껴져서 안 하느니만 못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별 하나 깎고 싶었지만 임팩트가 너무 강렬하여 눈 질끔 감고서 별 다섯 개 드리리다. 이렇게 등잔 밑이 어둡다는 팩트를 조명하는 일본 작가들이 여럿 있지만 내게는 미나토 가나에가 원 탑이다.  그나저나 시어머니들도 한때 며느리였으면서 왜 며느리들을 못 잡아먹어 안달인 걸까. 확실히 나이만 먹었다고 전부 어른은 아니다. 밑의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그릇을 갖춰야 참된 어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