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상처받은 기억은 사라지지 않을까 - 불편한 기억 뒤에 숨겨진 진짜 나를 만나다
강현식 지음 / 풀빛 / 2022년 2월
평점 :

기억에서 쉽게 지워지지 않는 상처들이 있다.
그런 잊혀지기 힘든 기억들을 지워내기는 때로는 자력으로 힘들 때가 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약물의 도움을 받아야 할 때도 있다.
지우려고 하면 할수록 우리를 괴롭히는 불편한 기억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 그리고 그것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생각보다 그런 불편한 기억들은 우리 평범한 사람들도 대부분 많이 겪었고, 우리 주변에서도 드물지 않게 일어나기도 한다. 그래서 책에서 소개된 주제들이 그리 멀게 느껴지지만은 않았다.
특히 가스라이팅과 관련된 부분에 관심이 있어서 이 책을 골랐다.
226
“누군가와 잘 지내기 위해서는 혼자만 노력하고 희생해선 불가능하다. 혼자 참고 견딘다고 될 일이 아니다.
상대가 나의 영역을 침범해서,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나를 조종하려고 한다면 그 관계는 반드시 깨버려야 한다.
이것을 알아차리려면 자신의 마음을 잘 살펴보는 게 중요하다.
소화되지 않은 일이 계속 기억나면서 불편한 감정을 느끼고 있다면 가스라이팅인지 의심해봐야 한다”
지피지기면 백전 백승이라고.
이기려면 적을 파악해야 한다.
아니 굳이 이긴다기 보다는 당하지 않으려면 말이다.
내가 가스라이팅을 당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나면 생각보다 그 불쾌함과 상처는 오래간다.
왜 그런 일을 당했을까. 내가 뭐가 부족해서. 나는 그냥 다 잘되었으면 하고 열심히 살았을 뿐인데..
억울함이 남는다.
그리고 가스라이팅을 한 가해자는 정작 자신이 남을 힘들게 했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저자는 누구나 자기도 모르게 겪을 수 있는 가스라이팅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준다.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의 기원, 그 원인과 벗어나는 방법에 대해서도 소개해준다.
생각해보니 내가 경험했던 불편한 감정들도 가스라이팅에 의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후유증은 그 이후에 나타났다. 좋은 회사로 이직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이 팀장에게 당했던 일들이 하나씩 떠오르면서 분노에 휩싸이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저자는 달라진 행동이 기억을 치유한다고 말한다.
즉, 치유를 위해서 우리는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환경을 변화시켜야 하고, 필요하다면 관계를 끊어내야 한다.
이것도 가스라이팅이었구나
자기 마음대로 나를 구워삶기 위해 나에게 잘해주는 척, 위해주는 척, 친절한 척하면서 나를 이용해왔구나.
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나에게 던져주는 당근에 속아서는 안 되겠다.
나의 인정욕구와 결핍 때문에 나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에게 넘어가서는 안 되겠다.
안 좋았던 기억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오히려 그 기억을 마주하는 것이라는 저자의 말이 인상에 남는다.
고통스럽지만 나를 성숙시키고 다른 이들을 도와줄 약재료가 될 기억들이라 믿는다.
출판사를 통해 책을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