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자의 엄마, 치매에 걸리다 - 기억을 잃으면 그 사람은 ‘그 사람’이 아닌 걸까?
온조 아야코 지음, 박정임 옮김 / 지호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자기다움, 즉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사람은 이전에 했던 일을 못하게 되면 ‘자기다움’을 잃게 되는 걸까?

과연 그 사람의 기억만이 ‘그 사람다움’을 만드는 걸까?

영화 스틸 앨리스에서도 마찬가지다.


<알츠하이머 가족에게 다가가기>라는 책에서도 마찬가지다.

저자는 엄마를 관찰하며 치매가 ‘그 사람다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게 된다.

치매는 아주 천천히 진행된다. 인지기능은 천천히 저하되기 때문에 하나하나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었고 또 그 변화에 익숙해지는 시간도 생각할 시간도 많았다고 한다.

 

결론은 치매에 걸렸어도 저자의 엄마는 그 본연의 모습을 잃지는 않았다고. 치매는 자기다움을 잃는 병이 아니었다고 말한다.

엄마가 서서히 변해가고 자신의 기억을 잃어가는 과정을 옆에서 객관적으로 지켜본다는 것이 쉽지 않았을텐데 저자가 뇌과학자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 생각된다.

 

슬픈 내용일 수 있는 에세이이면서도 덤덤하고 또 냉정한 뇌과학 서적인 셈.

 

주변에 가까운 분께서 알츠하이머를 앓고 계시기에 더욱 와닿으면서

앞으로 가족 구성원으로서 어떻게 대비하여야 할지,

오히려 직계가 아니기 때문에 더욱 객관적인 관점에서 받아들이고 도움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딸의 입장에서 쓴 책이기에 매우 실질적으로 도움되는 내용이 많다.

가족으로서 변해가는 엄마를 바라보는 심정이 어떨지,

 

상세한 묘사, 그리고 의학적이고 과학적 측면에서의 설명을 곁들여서인지

알츠하이머라는 병에 대해 피부에 와닿지 않았던 내용들이 확 피부에 와닿았다.

참 글을 잘쓰는 뇌과학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알츠하이머를 앓고 계신 분이 주변에 있다면, 어떻게든 도움이 되고 싶다면 꼭 이 책을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출판사를 통해 책을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