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심보감 인문학 - 처음 인문학을 공부하는 사람을 위한 고전 입문서
한정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10월
평점 :

[명심보감]하면 어린아이들이 읽는 고전이라고 생각하며, 논어, 맹자, 노자, 장자를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어린아이용 인문고전, 또는 자기성찰 메시지만 담고 있는 고전이 아니다. 사실 ‘명심보감’은 수천년 동양 인문학의 정수가 살아 숨쉬는 최고의 고전 입문서이다.
‘명심보감’의 진정한 의의는 무엇일까, 첫째 ‘명심보감’에는 동양 인문학에서 필독서라고 간주되는 주요 고전이 총망라되어 있다. 둘째, ‘명심보감’은 동양 인문학의 모든 것, 즉 철학.역사.문학 등을 중심으로 주요 학자와 사상, 역사 인물과 사건을 다루고 있다. 셋째, 인문학의 역할이란 단순히 말하자면 ‘인간의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이는 인간의 문제를 신의 시각과 관점이 아닌 인간의 시각과 관점에서 다루기 때문에 인문학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책은 명심보감의 기본적인 구성에서 벗어나 '성찰하는 삶','지혜로운 삶' , '실천하는 삶' ,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삶' 에 대하여 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을 새로 구성하며 동양인문학의 정수 및 우리가직면 하고 있는 삶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전체적으로 명심보감의 구절을 소개하고, 일화를 가져와 설명하면서 그 구절속에 담긴 이야기를 흥미롭게 다가갈수 있게 해준다.
명심보감이라는 문학자체를 어렵게만 생각했던 나에게 쉽고 재밌게 생각하고 읽을 수 있게 해준 책이었다. 주제가 정해져 있는것이 아닌 4가지로 되어있는 주제들이어서 굳이 순서대로 읽지 않고 , 손이가는대로 마음이 이끌리는 대로 읽어도 무방하다.
이미 운명이라고 말한다면, 어떻게 운명을 그렇게 만든 사람이 달리 있겠는가? 나는 곧은 것은 곧은대로 밀고 굽은 것은 굽은 대로 놓아둘 뿐이다.
태공이 말했다. "평범한 사람은 다가올 자신의 운명을 점칠 수 없고, 바닷물의 양은 한 말 두 말로 측량할 수 없다."
백성이 스스로 잘못을 꺠닫고 허물을 차자내도록 하는 것이 벼슬에 나가는 사람이 알아야 할 '백성을 다스리는 도리와 방법'이라는 것이지요.
옛날의 인문학을 읽다보면 , 어딘가 지금은 우리의 삶과 비슷해 보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공자, 맹자 ,노자등의 학자들과 사마천,제갈공명, 진시황과 가튼 인물들이 펼치는 흥미로운 이야기들로 동양인문학의 변천사들을 만나볼 수 있었다.
어렵고, 관심없던 이야기들을 동양 인문학 공부를 처음시작하는 시람들의 눈높이에 맞게 이야기해준 책이었던 것 같다.
#명심보감인문학 #한정주 #동양입문학 #고전입문서 #다산초당 #다산북스 #인문학 #고전인문학 #명심보감 #고전의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