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천 1 동천 시리즈 1
조재윤 지음 / 이야기(자음과모음) / 2000년 3월
평점 :
절판


<동천>이란 작품이 피씨통신상에 연재될 당시부터 <동천>의 팬이었다. 수많은 무협소설을 읽다보면 식상하기 마련이 패턴이지만 동천에서는 그 수많은 무협소설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줌으로서 식상한 팬들을 끌어들이는 마력을 가지고 있다. 성장무협만화라는 것이 당연시 되는 요즘이지만 아이가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자체가 주 스토리가 되어 이끌어가는 아기자기함은 겉에서 들어서 아는것보다 읽어봄으로서 느껴보는 것이 훨씬 좋다. 작품에서 주인공 동천은 세상을 참 약게 살아가려고 무진노력한다. 그리고 하늘은 그를 도와주려 무진장 노력한다. 그러나 언제나 꼬이는 것은 그가 아직 너무나 순수하기 때문이다. 이런 희학적 구조가 이소설의 매력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미제라블 1 범우비평판세계문학선 14
빅토르 위고 지음, 방곤 옮김 / 범우사 / 199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레미제라블은 불쌍한 사람들이란 말이다. 이 작품의 주인공 장발장은 정말로 불쌍한 사람이다. 배고픈 이가 빵한조각 훔치다 인생을 망친다는 것이 듣는 사람에게 얼마나 연민의 정을 느끼게 하는가 거기에 그를 둘러싸고 집요하게 추격하는 형사 그는 현재 세상을 향해 속죄하는 장발장보단 과거의 장발장에 더 집착하는 인물인 것이다. 빅토르 위고는 이 작품에서 무한한 사랑을 배풀어 주는 목사에 감동한 장발장이 그 사랑에 감동하며 다른사람들에게 배푼 사랑으로 장발장이 얼마나 위대한 인물이 되어가는 지를 보여준다. 사랑하는 양녀인 코제트를 위해 그가 그녀의 연인을 구하기 위해 전쟁와중에 그를 구하는 것은 정말 타인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 장발장의 모습을 너무나도 잘 묘사한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법소녀 리나 - 퍼즐애니북스 6
H. 간자카 지음 / 계림닷컴 / 1997년 11월
평점 :
절판


<마법소녀 리나>는 어느모로 보나 재미있는 작품이다. 명랑한 말광량이 리나는 돈을 무지하게 밝히는 행동과 먹성으로 사람들을 놀라게 하다가도 최강의 마법으로 악당들을 무찌르는 것을 보면 통쾌함을 느끼게 한다 .거기에 주변에 모여드는 개성있는 보조 인물들은 전형적인 환타지 문학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이 거대한 세계가 처음에는 조그마하게 시작되지만 당영히 대작가들이면 가지는 공통된 습성으로 하나의 환타지 세계를 만들기위해 매달린다. 거기에 터무니 없이 강해지는 악당들과 터무니없이 강한 외계의 인물들이 등장함으로써 끝의 처리가 상당히 힘들어지는 와중에서도 리나의 미덕은 상당히 전형적이었다는데 있다는것은 아이러니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이온 킹 - 골든북스 13 골든북스 13
월트디즈니사 지음 / 지경사 / 1999년 5월
평점 :
품절


이 작품은 월트디즈니의 창작작품이다. 그러나 이작품이 우리나라에서도 유명한 밀름의 왕자 레오와 여러가지로 닮았다는 사실은 매우 유명하다. 이작품에 드러난 권선징악적 요소나 뮤지컬 감동을 주는 복수등 여러가지 면에서 월트디즈니의 90년대 최고 작품임을 부인할수 없는 요소가 두루 갖추어져있다. 그런데 하나의 오점이 되어버린 데스카 오사무의 밀림와 왕자와 너무나 닮은 캐릭터와 인물 스토리는 데스카 오사무 자신이 월트디즈니를 보고 애니메이션을 배웠듯이.

이번엔 디즈니가 일본의 월트디즈니인 데스카에서 따왔다고 해서 크게 비난할 일은 아니라 생각한다.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두 거대 문화형성 기업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즈니의 인어공주 - 월트디즈니문고 1
월트디즈니 지음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1992년 1월
평점 :
절판


인어공주란 동화를 디즈니는 어떤식으로 해석했는지를 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무엇보다도 엔딩에서 비극적인 인어공주의 방울이되어 사라지는 그것을 해피엔딩으로 바꾼것은 제프리 카젠버그의 천재성과 동시에 월트디즈니의 노선이 어떤것인지를 극단적으로 세상에 알린 결과를 가져왔으며 작품의 완성또한 대단히 흥행에 성공을 가져왔다. 아이들에게 아름다운것 행복한것 좋은 것만을 보여주려는 것이 어른들의 강박관념만이 아니라고 단언할수 있다면. 오늘날의 세계명작들은 다시금 쓰여져도 무방할수 있다는 명분을 이작품은 세워주지 않았나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