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쓰다, 그리다, 그리워하다
이상.이광수.김동인 외 지음 / 루이앤휴잇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사십 평생 가장 사랑하던 사람이요, 벗이었던 너를 여의매, 내 슬픔은 끊일 줄 모른다. 네가 내 무릎 위에 있는 동안 나는 네게 좋은 것을 하나도 해주지 못하고 도리어 좋지 못한 꼴만 보이고 말았다."

춘원 이광수가 불의의 사고로 잃은 아들 봉근을 향해 일 년간 쓴, 부치지 못할 편지에는 그의 애끊는 심정이 절절하다.

그는 또 일본에서 유학 중이던 부인 허영숙을 살뜰히 챙겼다. 여름에는 '렌코트'(레인코트)가 필요하니 값을 적어 보내라며 부인에게 편지를 보냈다. 훗날 도쿄 여자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돌아온 허영숙은 국내 산부인과 1호 개업의가 된다.

"오늘 140원 부친 것 받았을 줄 믿소. 그리고 기뻐하셨기를 바라오. 그걸로 양복 지어 입고 40원으로는 3월 학비 하시오. 나는 학교에서 참고서를 많이 사줘서 그것만으로도 몇달 공부 거리는 될 것 같소."

시인 겸 소설가 이상이 사랑하는 여인에게 보낸 유명한 연서도 실렸다. 

"지금 편지를 밧엇스나 엇전지 당신이 내게 준 글이라고는 잘 믿어지지 안는 것이 슬품니다"로 시작하는 이 편지는 이상이 스물다섯 살 때 소설가 최정희에게 쓴 것으로 추정된다. '정희'라는 여인이 보낸 편지로부터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이상의 고백체 단편소설 '종생기'와 관련성 탓에 문학사적으로도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사랑을 쓰다 그리다 그리워하다]는 은 한국문학사의 거장들이 남긴 편지를 엮은 것이다. 이에 이광수·김동인·이상·김유정·김영랑·이효석 등 내로라하는 문인들이 가족과 친구, 연인에게 보낸 편지 40여 편의 편지를 실고 있다.    

빛바랜 편지 속에는 그들의 삶과 희로애락이 깃들어 있다. 특히, 차마 작품 속에는 쓸 수 없었던 내밀한 개인사와 가족사를 다수 담고 있어, 그들의 민낯 뿐만 아니라 가난과 고난 속에서도 빛나던 그들의 인간적인 모습과 마주할 수 있다.

깊은 감동과 오랜 여운이 남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주 오랜만에 마음을 흔들어 놓은 책을 한 권 발견했다. 아니, 책에 담겨 있는 문구가 삶에 쫓기듯 바쁘게 살고 있는 내 머릿속을 그야말로 발칵 뒤집어놓았다.


그 문구를 본 순간, ‘맞아!’라는 소리가 저절로 나올 만큼, 나는 요 근래 들어 유독 심하게 흔들렸다. 삶의 진리와 마주치는 순간순간이 그렇듯 아주 오랫동안 기억하고, 금과옥조로 삼기 위해서 나만의 메모장에 기록해놓기조차 했다.


바로 도종환 시인의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라는 시의 일부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면서 피어난다.


우리의 삶을 꽃에 투영시킨 단 몇 줄의 시가 이렇게 마음을 온통 흔들어놓을 줄은 미처 몰랐다. 그러던 중 시인은 사실 이렇게 말하고 싶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삶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이의 삶도
몇 번씩 넘어지고, 상처를 입으면서 피어난다.


어렵고 힘든 시기일수록, 온몸으로 인생의 역경을 헤쳐나간 이들의 삶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다. 그들의 지칠 줄 모르는 투혼과 열정, 끝 모르는 도전정신이 깊은 울림과 감동을 주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한두 번의 실패에 굴복하는 삶을 살고 있다.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거기서 멈추게 되면 그대로 끝나고 만다. 나라는 존재 역시 실패자로 각인되고 마는 것이다. 그때 필요한 것이 바로 용기다.


“실패가 두려워 다시 시도하지 않는다면 아마 두 번 다시 일어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실패를 뛰어넘어 다시 시도한다면 그것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 될 것이다. 때문에 삶의 고난은 어떻게 이겨내느냐가 중요하다.”


절망 끝에는 언제나 희망이 기다리고 있다. 때문에 우리는 삶이라는 싸움에서 반드시 이겨야만 한다. 그리고 절망보다는 희망이 더 우월하다는 사실을 스스로 증명할 필요가 있다. 더 이상 실패자로 각인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더욱더 그렇다.


[다치고, 상처받고, 그래도 나는 다시]에는 총 10명의 인물이 등장한다. 그들 대부분은 생각하기조차 싫은 불우하고 고통스러운 시절을 보내야 했다. 하지만 그런 악조건 속에서도 자신의 꿈과 희망을 잃지 않았다. 이에 수없이 넘어지고, 상처받으면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아갔다. 


그들의 처음 시작은 무수한 고통과 시련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스스로 이를 극복해냈다. 과연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무수한 고난과 시련, 역경을 극복하고 정상에 우뚝 설 수 있도록 했을까. 


책은 무수한 고통과 시련을 딛고 일어선 주인공들의 파란만장한 삶과 뜨거운 열정, 도전, 그리고 투혼을 오롯이 담고 있다. 여기에 그들이 직접 몸으로 부딪히면서 터득한 삶의 지혜와 솔루션을 통해 살면서 넘어졌을 때 다시 일어나 스스로의 인생을 개척해나갈 수 있었던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특히 젊은 날의 상처와 번뇌를 가득 안고 살아가는 이들에게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더 이상 과거의 아픔이나 상처와 싸워서는 안 된다. 자기 자신이 최고라고 믿어라. 자기 자신을 사랑할 줄 아는 사람만이 고통과 시련을 현명하게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 살면서 한 번도 쓰러지지 않는 사람은 없다. 누구나 몇 번쯤 넘어지고, 상처를 받는다. 하지만 이때 사람들의 선택은 둘로 나뉜다. 다시 일어서서 달리는 자와 그대로 멈춰버리는 자. 그 선택에 누구도 간여할 수 없다. 자신을 일으켜 세우는 것은 자기 자신밖에 없기 때문이다.


“인생은 등반과 매우 비슷하다. 걷고 또 걷고 걷다 보면 무수히 많은 문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 문을 모두 열어야 한다. 하지만 열정과 노력 없이는 절대 그 문을 열 수 없다.”


산다는 것은 절망과 희망의 끊임없는 반복이자 싸움이다. 무더운 여름을 잘 견뎌야만 시원한 가을바람을 맞을 수 있고 혹독한 겨울을 보내야만 꽃이 만발한 봄을 껴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아프고, 상처받고, 흔들리는 이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긍정의 힘을 북돋아준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우리에게 지금 남보다 조금 부족하다고 해서 뒤로 물러서거나 삶을 회피하지 말 것을 주장하고 있다.


“고난과 시련을 도전의 기회로 삼아라! 많이 넘어진 사람일수록 쉽게 일어서는 법이다. 넘어지지 않는 방법만 배운 사람은 일어서는 법을 모른다.”


삶이 힘든가? 어려운가? 답답한가?
그렇다면 이 책을 한 번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여기 삶이라는 깊은 구렁텅이에 빠졌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나간 이들이 있다. 그들은 말한다. 아무리 삶이 힘들고, 어려우며, 답답할지라도 그것을 개척할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자신뿐이라고. 만일 그래도 힘이 든다면 이렇게 한 번 외쳐보라고.
“다치고, 상처받고, 그래도 나는 다시!”

 

* 위 리뷰는 알라딘 회원 '안단테' 님이 작성한 것으로 본인의 허락 하에 게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