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형사 실프와 평행 우주의 인생들 ㅣ 민음사 모던 클래식 38
율리 체 지음, 이재금.이준서 옮김 / 민음사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물리학자인 제바스티안과 오스카는 대학시절부터 물리학과 함께 애증을 공유한 사이이다. 제바스티안에게는 아내와 아들이 있는데, 어느 날 아들이 유괴된다. 제바스티안은 아들을 돌려받기 위하여 얼토당토않은 유괴범의 요구에 따른다. 문제는 그 뒤. 유괴범의 지시에 따라 행동했음에도 유괴범에게서는 연락이 없고, 당황한 그는 오스카에게 연락을 하게 되는데, 과연 범인은 누구인가? ...라는 이야기일지도 모르겠군요.
첫 장을 읽으면서는 씁쓸했고, 사건이 시작되고 전개되는 두 번째 장부터 다섯번째 장까지는 흥미진진했고, 여섯 번째 장에서 깜짝 놀랐다가, 마지막엔 이렇게 끝나다니 ㅠㅠ 라는 생각과 함께 여러 가지 복잡한 감정이 교차하는 소설이었습니다.
제바스티안의 아들인 리암의 유괴와 살인사건이 섞여 이를 풀어나가는 추리소설이긴 하지만 범인이 누구인지는 소설을 읽다보면 굳이 탐정이 실프가 해결해주길 기다리지 않아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실프의 범인 물색과정도 재밌긴 했지만 그보다는 오스카와 제바스티안의 미묘한 관계를 읽어내는 편이 훨씬 재미있었습니다. 많은 수식 때문에 좌절하면서도 현대 물리를 재미있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 알기 전과는 무척 다른 시선으로 현상을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소설을 쓴 율리 체도 그런 매력을 알고 이런 소설을 쓰지 않았나 싶어요. 저는 무척 즐겁게 읽었지만, 물리를 싫어하시는 분들도 즐겁게 읽을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20세기 물리학에서 가장 재밌는 개념 중 하나가 평행우주란 개념입니다. 요즘에는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에도 참 많이 적용되고 있는 이 개념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외에도 과거 어느 시점에서 우리가 선택하지 않은 수많은 현재가 존재한다는 개념입니다. 제바스티안은 이러한 평행우주를 지지하는'척'하는 물리학자로, 오스카는 이런 제바스티안을 현실이라는 단 하나의 세계로 끌어당기려고 오랜 시간 노력합니다. 그러나 제바스티안이 평행 우주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오스카에게 느낀 열등감 때문이었고, 오스카는 이를 이해할 수 없기에 빈번히 실패만 거듭합니다.
사실 제바스티안이 느낀 열등감은 사실 어느 한 분야를 파고들다보면 누구나 느낄 수 밖에 없는 감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 선배나 후배, 혹은 스승이라는 벽이 제바스티안의 경우에는 오스카라는 바로 옆에 있던 친구라는 형태를 띠고 있었고, 끊임없이 이어지는 그들의 관계 덕에 벽은 절대 허물어지지 않고 버티기만 합니다. 제바스티안의 시점으로 이어지는 묘사가 많고 나름 상식적인 삶은 살아간 덕에 그의 생각에 공감하기가 쉽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심약한(?) 친구 덕에 별 짓 다 하는 오스카도 은근 안쓰럽군요.
+ 이 책의 교훈은 인간관계를 소중이 하자- 일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