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구역 - District B13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야마카시 액션이 시원한.. 주말에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보기 딱 좋은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용적심 - Heart Of Drago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홍금보의 백치 연기와 성룡의 액션 연기가 어우러진 수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ity Book, The Cities of Ballpark : New York, Boston, Chicago, Atlanta, Los Angeles - 전5권 - 뉴욕, 보스턴, 시카고, 애틀란타, 로스엔젤레스에서 만나는 야구의 모든 것
F & F 엮음 / 삼성출판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대부분의 한국인에게 그렇겠지만

내게도 역시 미국은 가장 친숙하며 가까운 나라이면서도 정작 그 거대한 문화를 잘 알 길이 없는 나라다.

 

미군과 함께 군생활을 하며

그들의 서민 문화를 2년 동안 많이 접한 나는 비교적 걸러지지 않은 생문화를 알고 있지만,

그다지 맘에 들지 않아

무비자 협정 전에는 결코 가지 않겠다는 괜한 자존심을 세워 비자도 만들지 않았고

이제 비자프리 협정이 맺어진 현재는 지문 찍는 것이 싫어서 가고 있지 않지만..

 

사실 미국의 거대한 문화는 21세기를 살면서

꼭 알아야 하고 가봐야 하는 나라이며

사실 조금 가보고 싶기도 하다...

 

그 가보고 싶은 마음을 들게 하는 몇 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그들의 스포츠 문화.

스포츠라면 이것저것 좋아하지 않는 것 없는 나이지만

그 중에서도 메이저리그 야구는 빼놓을 수 없다.

 

이 책은 그 메이저리그 연고지 중 가장 유명한 팀들이 있는 가장 유명한 도시 다섯 곳을

야구와 버무려 소개하며

더불어 현재 그 곳의 젊은이들이 열광할 만한 쇼핑, 클럽 등의 놀이 문화와 패션 중심지 등을 소개한

문화 소개서 이자 여행 가이드이다.

 

둘 중 어느 하나라면,

문화 소개서로도 모자라고, 여행 가이드 서적으로도 모자라지만,

메이저리그라는 메인 토픽 하나를 참으로 잘 잡았으며 그를 통해서

그 도시들을 이해하기 시작하는 점은 탁월한 선택이다.

 

아기자기한 사진들은 다섯 대도시들의 활발한 면을 잘 잡아내었으며

저자들의 개인적 취향이 다분히 포함된 각종 young한 문화들과 그 명소들을 이어 소개한 점은,

이 책의 저자들과 공감할 수 있는 세대 중에서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꼭 읽어보거나

혹은 이쁜 사진들과 장정만으로도 이 책을 책꽂이에 꽂게 하고 싶은 생각을 절로 나게 만들 것이다.

 

뉴욕의, 보스톤의, 시카고의, 아틀란타의, 로스앤젤리스의 거리를 걷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그저 그곳에 앉아서 미국과 그 도시들의 어두운 면 말고

밝은 햇살로 그 축복받은 나라의 밝은 면을 쭉 빨아 들여 나의 기를 충전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언제쯤 가보게 될까?

언제일지 몰라도, 어디일지 몰라도 내가 미국땅에 발 디딜 날,

나는 야구장에 꼭 가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잡스처럼 일한다는 것 - 위기에서 빛나는 스티브 잡스의 생존본능
리앤더 카니 지음, 박아람.안진환 옮김 / 북섬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스티브 잡스의 생애 및 그가 지내왔던 사건들은 이미 (이 책에서도 여러 번 인용하고 있는)

<iCon>라는 책을 통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는 터.

이 책을 통해 알고 싶었던 것은 wired.com 이라는 유수의 매체의 편집자인 저자가

과연 잡스의 경영 철학을 어떻게 읽어 내어 읽는 이에게 어떤 비전을 줄 수 있을 것인가 였다.

 

처음에는 구성이 좀 난삽해 보였다.

시간순도 아니고 명확한 카테고리를 제시하는 것도 아닌 듯 하고.

그러나 저자의 뛰어난 구성력으로 이러저러한 일화들과

말하고 싶어하는 주제가 점점 명확하게 맞아 떨어져 가면서

순식간에 스피드를 내며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왜, 잡스가 괴짜로 불리우는지. 그가 무엇이 다른지.

그것은 그가 성격이 괴팍하고 잘 안씻은 적도 있으며, 채식주의자에

자식을 인정하지 않고 살았던 기간도 많으며, 20대에 억만장자가 되었다가 쫓겨나고,

다시 재기하는 등의 것에 있지 않았다.

 

남들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며 마케팅 리포트를 쓰는 동안에,

고객 경험만을 머리속에 그리며 오히려 고객의 니즈를 만들 수 있는 트렌드 세팅을 하고 있고,

많은 것을 담기 보다, 보다 많은 것을 버리려 하는 생각을 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구조와 프로세스보다는 열려 있으면서도 창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그것들을택하고,

남들이 다 버리고 전문화의 길을 택하고 있을 때

오직 애플만의 전 스트럭쳐를 컨트롤 가능한, 아키텍처 구조로서의 라인업을 구성하는 등.

 

남과 다르게 리딩하는 것에 있었다.

단순히 그의 기행과 언변에만 천착해서는 잡스의 진가를 알지 못할 것이다.

저자는 명료하게, 이런 지나치기 쉬운 부분을 잘 집어 내어 설명하고

각 장의 마지막에는 정리까지 해주었다.

 

여러 모로 친절한 책이 아닌가 한다.

이 책이 나온 다음에도 애플은 계속 진화하고 있으며,

애플을 따라 잡기 위한 여러 기업의 노력도 진화하고 있다.

그 흐름 속에서 나는 어떻게 일하고,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직장인이라면, 한번쯤 고민해 볼 수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이 사랑한 예술
아미르 D. 악젤 지음, 이충호 옮김 / 알마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20세기 서양 사상의 흐름이 실존주의-구조주의-포스트모더니즘 등으로 흘러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전공 탓에 이 흐름을 이끌었던 숱한 석학들의 글을 많이도 공부했었는데,

다만 체계적으로 줄기를 잡지 못하여 이리저리 공부했었던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신입생 무렵 누구나 읽는 사르트르부터

90년대 초반 무렵부터 우리 나라에서 붐이 일었던 해체주의 열풍의 영향으로

데리다나 들뢰즈 같은 학자들을 거쳐,

푸코나 라캉 등으로 옮겨 다녀서 전체적인 흐름의 조망 보다는

단위적인 이해에 머물렀었다.

 

그래서 이 책에 매우 끌렸었던 것 같다.

 

레비-스트로스, 소쉬르, 피카소, 라캉 등은 알되,

그 존재조차 알지 못했던 부르바키라는 수학자.

그가 집합론을 집대성하고 그로부터 '구조'라는 개념을 쌓아올렸으며,

그 구조라는 수학의 방법론으로 문학, 예술, 철학 등 20세기 중반의 학문의 탄탄한 또 하나의 '구조'가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로울 수 밖에 없었다.

 

막연히 어렵게만 느껴지며 딴 세계 사람들 같이 느껴지며

위상수학이니 하는 단어만 들어도 두드러기가 날 것 같은 느낌이었지만

인문 사회과학도 였던 내 공부 저 깊은 곳에 수학이 숨겨져 있었던 것이다.

 

또한 그가 실존 인물이 아니라

여러 명의 수학자들이 모여 만들어 낸 가공의 인물이란 점은 마치 소설을 보는 듯.

실제로 그런 일이 있을 수 있었다는 사실이 놀라웠지만

많은 수가 유태인이었던 그들이 전쟁을 겪으면서 다난한 삶을 살아냈다는 점을 보면

고개가 끄덕거려지는 면도 있었다.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고

어느 정도는 부르바키 수학과 사조로서의 구조주의의 관계도 파악되어 좋았지만,

수 많은 사람들의 간략한 전기를 끊임없이, 시도때도 없이 나열하는 서술 방식은

오히려 몰입도를 떨어뜨려 글의 흐름이 계속 끊겼다.

 

수학자들 한 사람 한 사람의 삶 보다는 위에 언급한 줄기를 잘 잡아주는 것이

이 책의 독자들에게는 더욱 유익한 서술이 아니었을까.

 

레비-스트로스를 다시 읽어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