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몬드 (양장) - 제10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손원평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일렉시티미아, 감정표현불능증을 소재로 한 한 아이의 이야기이다.
소설 처음에는 매우 흥미롭고 자극적으로 시작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시작은 주인공인 선윤재의 상태를 좀 더 극적으로 부각을 함과 동시에 이야기를 풀어가는 실마리가 된다.
즉 하나의 장치로서 자극적인 사건이 발생할 뿐이며 전반적인 소설의 내용은 이야기의 핵심이 되는 두 아이의 성장소설의 내용이 주를 이룬다.
주인공인 선윤재는 선천적 감정표현불능증을 타고 난 아이이다.
이에 따라 공포를 느낄 수 없으며,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할 수 없는 아이이다.
그리고 선윤재와 함께 이야기를 풀어가는 또 다른 아이... 윤교수의 아들 곤이 (본명 이수).....
선윤재와 정반대의 성격으로 묘사가 되지만 결국에는 자신이 선택할 수 없었던 상황과 그 결과에 대해 주위의 선입견이 두려워
스스로를 점점 더 파괴하는 아이일 뿐이다.
흥미로운 것은 이 지점에서 선윤재라는 아이와 접점이 생기는 것이다.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혹은 공감하지 못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모르는) 선윤재를 곤이가 볼 때는 유일하게 선입견이 없이 자기를 있는 그대로 받아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하는 것이다.
중반까지 내가 글을 읽을 때는 정말 기대로 해석을 하였다.
그래서 중간에 또 다른 아이인 도라가 등장하였을 때는 윤재와 곤이가 합의되지 않는 결론으로 나아가게 되는 기폭점으로 생각이 되어 조마조마하면서 섬뜩함을 느끼면서 읽어나가게 되었다.
(중간에 윤재와 도라의 관계 맺음을 곤이가 보면서 씨익 미소를 짓는 내용이 묘사되는데 난 섬뜩함을 느꼈다.)
소설은 나의 기대(?)와는 다르게 이 둘의 만남이 결국에는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마무리가 된다.
작가님은 이 식상할 수도 있는 결론에 대해 아래와 같이 이야기하셨다.
" 나는 인간을 인간으로 만드는 것도, 괴물로 만드는 것도 사랑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런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
이 소설의 초고를 쓰실 때 작가님의 아이가 4개월 째 였다고 하니 이러한 결말이 충분이 이해는 된다.
작가님 스스로 밝혔듯이 식상한 결론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아몬드를 강하게 자극하는 내용이 아니라 편하게 자극하는 내용일지도 모른다.
처음에는 소설이 마무리가 되어 가면서 반전을 기대 하였지만 결국에는 초반의 내용은 하나의 장치일 뿐이라고 생각하면서, 그리고 작가님께서 한 이야기의 의도를 읽으면서 불편한 자극을 받을까봐 노심초사하던 나를 다시 발견하게 되었고 결국에는 소설의 결말을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문득, 감정표현불능증이라는 주인공에 몰입하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고 공감하지 못하는 것이 어떤 기분일까? 아니, 나는 궁금해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
아.. 머리가 복잡해졌다.
P.S 1
시기가 대선기간인지라 나도 모르게 “감정표현불능증”을 전 대통령과 현 대통령 후보들의 공감능력에 연결시켜보려는 시도를 뜬금없이 하게 되었다. 물론 잠깐 담배 한 대 피는 시간 정도였지만...
P.S 2
영화로도 소설로도 좋아하는 “완득이”가 떠올랐다.
청소년 시기에는 뭐가 되었든 희망이라는 단어가 매우 소중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P.S 3
소설에 “심박사”가 등장한다는 것을 꼭 메모해두고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