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의 소외집단 - 서양 중세사 총서 3
제프리 리처즈 지음 / 느티나무 / 1999년 8월
평점 :
품절


역사라고하면 으레 지배계급을 위주로 한 정치사가 떠오른다. 그도그럴 것이 정치적 지배자나 영웅들에 의해 역사의 전환을 맞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한 국가에서 이들의 지위는 정책을 결정지을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또한 대중 혹은 민중의 역할이 결정적인 역사의 추진력이라해도, 그것은 너무나 추상적인 것이어서 뚜렷히 단정할 수 없는 그 무엇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구에서는 일찍부터 아래로부터의 역사에 눈을 돌려 정치적 지배자의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기존 역사학의 한계를 과감히 극복하고자 하였다. 일상의 역사, 심성사, 미시사 등이 그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역사학적 방법론이며, 이미 많은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 책 '중세의 소외집단'도 그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나온 책이 아닌가 보여진다. 책의 제목이 시사하듯이 지배계급 혹은 지배계층보다 소외된 사람들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을 통해 중세의 후미진 구석 혹은 일상적 삶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들에게 매우 흥미롭게 다가온다.

이 책에서 저자가 주목하고 있는 집단 즉 중세시기 소외된 사람들은 종교적 이단자 나병환자 마녀 창녀 유대인 등에 집중되어 있다. 물론 이들에 대한 판별기준이 현대와도 매우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무엇보다도 종교적 이데올로기가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들에게 도덕적으로 타락한 집단이라는 낙인을 찍었던 것은 다름아닌 종교이데올로기라 할 수 있다.

물론 순수한 종교 그 자체라기보다 종교와 연계된 계급간의 이익과 상호 충돌에 밀려 어쩔 수 없이 희생양의 지위로 추락할 수밖에 없었던, 이들에 대한 사회구조적 올가미로서 종교의 영향력은 일반 대중이 극복하기엔 너무도 벅찬 것이었다. 20세기 중반 매카시즘적 마녀사냥 역시 냉전의 이데올로기가 중세의 종교적 권위를 대신한 것이지만, 그 본질은 동일한 것이 아닐까 한다. 기득권을 수호하기 위한 방편으로 희생양을 선택했다는 점, 종교 사상적 이데올로기를 그들에게 덧씌움으로써 이성적 사고의 틈을 주지 않았던 점이 너무도 유사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