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살의 철학 - 열정의 서른에서 결실의 마흔으로
가와기타 요시노리 지음, 박혜령 옮김 / 토네이도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달력을 보니 앞으로 찢을 수 있는 달력 페이지가 2장 남아있다.
쌉싸름한 기분과 우울한 감정이 동시에 든다.  내 나이는 삼십대의 마지막 턱걸이를 하고 있다.

마지막 턱걸이의 심한 몸부림, 마흔으로 가는 길목 앞에서 유치찬란한 감정의 기복을 심하게 앓으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오히려 담담하게, 평안한 마음으로 사십이라는 숫자를 기다리고 있었다. 

 

  '마흔살의 철학'

책 제목을 보고 머리를 띵하게 한 대 맞은 것 같았다. 담담하게 마흔을 기다리고 있었지만 그건 마음의 자세였다. 막연하게 마흔에는 어떻게 살아야지라는 방법적인 것만 생각했지 나만의 철학을 다듬고 정리할 생각을 못했기 때문이었다. 내 삶의 철학을 정리하기전에 남들이 말하는 마흔살의 철학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특히 저자는 일본에서 30~40대 비지니스맨에서 인기있는 강연가라고 하니 그의 풍부한 지식과 견해가 알고 싶었다.

 

  52가지의 방법을 4장으로 구성하여 짜임새있게 마흔에 가져야할 철학에 대해 저자는 이야기하고 있다.

마흔에도 삶에 대한 열정과 목표를 가지고 마흔 이후의 10년, 은퇴 후의 삶에 대해 준비하고 한다.

가정과 직장을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자녀의 미래를 위해 고민과 걱정만 했던 마흔의 모습에서 벗어나

큰 그림을 그리며 열정과 도전을 하라는 주문은 익히 들어본 요구사항이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저자의 조언은 깊이 공감되기도 했다.

 

 '한쪽 눈을 감아라'에서 배우는 타인의 실수에 대한 배려, '당신의 공간을 만들어라'에서는 가정내에서 쉴 공간이 없는 남편을 위한 공간 만들어주기, '신뢰보다 신의가 더 중요하다'등등에서 배우게 되는 삶의 철학은 마흔이 아니더라도 필요한 덕목이라는 생각이 든다. '봉사여행을 떠나라', '사회 공헌을 준비하라' 등 마흔 이후의 삶에는 사회와 이웃에 대한  베품과 나눔에 대한 사랑의 실천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참, 마흔에는 자신만의 책을 써보라는 조언이 있다. 그 조언에 따라(?) 올해가 가기전에 나만의 철학목록을 작성해야겠다. 지금껏 정리되지 못한채 머리속에서만 뒹글던 나만의 철학이 어떻게 구성되어질지 궁금하다. 마흔 살의 철학, 내가 살고 싶은 마흔을 정리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