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연중행사와 관습 120가지 이야기 - 일본 황실 도서관의 수석 연구관에게 직접 듣는
이이쿠라 하루타케 지음, 허인순.이한정.박성태 옮김 / 어문학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이라는 나라에 관심이 없었다. 어쩌다 일본 정치인들의 망언을 듣게되면 죽일놈(?)의 나라.
역사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가 좀더 적극적인 자세로 일본에게 본때를 보여줬으면 좋겠다는  마음 정도가 다였다. 그러다 우연히 일본의 아기자기한 마을에 대한 책을 읽고 일본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생겼다. 일본에 대해 알아야겠다는 생각만 있던차에 이 책을 발견했다.  솔직히 일본의 문화와 관습, 행사에 대해서는  무외한이었던 나에게 이 책은 일본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주었다.

   책소개를 살펴보니 이런 글이 눈에  띄었다. [일본문화를 이루는 근간은 어디서 왔는가’라는 기본적이며 본질적인 궁금증에서 시작되었다]  과연 어느정도 포괄적으로 담고 있을지 궁금했고,  11가지 관습으로 나눠  120가지의 연중행사와 관습에 대해 일목목연하게 정리되어있다. 
일본의 자연관과 신앙, 정월의 관습, 결혼의 관습, 임신,출산의 관습에서 장례식의 관습, 관습과 관련된 속담까지 다양한 방면의 일본을 담고 있다. 연중행사와 관습이 생기게 된 배경부터 어원, 현재까지 어떤 모습으로 남았는지 설명해주고 있다. 또한 사진도 첨부되어 있어 일본을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나또한 사진을 보며 일본의 생소한 단어(일본어를 전혀 모르는 관계로 그말이 그말 같았다ㅡㅡ)와 행사를 일치시킬 수 있어 읽어내려가는데 어느정도의 불편을 덜었다.

  일본의 연중행사도 중국에서 전래되어 자신만의 색깔과 지역적 특색을 띄게 된 경우도 있었다. 기억에 남는 것으로 다나바타, 즉 칠월칠석의 견우와 직녀에 관한 이야기다. 일본에서는 직녀가 하늘에서 내려오는 신과 하룻밤을 보내 신의 아내가 되었다는 이야기와(79) 중국의 전설이 합쳐졌다고한다. 제야의 종을 108번 치는 것과 떡국을 먹는 풍습, 24절기 등 우리나라와 비슷하면서 틀렸던 연중행사을 보며 적지않게 우리나라의 영향도 받지 않았나 싶다. 

  일본과는 뗄레야뗄수없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무작정 이기자, 죽일놈의 나라라고 무시하기보다는 그 나라에 대해 알고 대처하는 방법을 배워나가는 것도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자세인것 같기도 하다.  알면 보인다는 말처럼 가볍게 일본에 대해 알 수 있고, 일본 문화에 대한 첫걸음으로 읽기에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