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연을 쫒는 아이’를 읽고 급하게 구입해서 읽은 책이다.
아프카니스탄을 배경으로 펼쳐진 이야기는 박진감과 긴장감을 주었고 또한 소년이 어른이 되어
자신의 과거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해결하는 과정이 잔잔한 감동을 주었다.
하지만 그 책이 끼친 큰 영향은 그동안 몰랐던 아프카니스탄의 역사을 알게 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여행금지나라,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던 아프카니스탄이 자신도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었고 사람이 살아가는 땅이라고 말한다.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의 주인공은 여인들이다.  마리암과 라일라, 이 두 여인은 눈물이 나올만큼 
절망적이고, 비참하고, 도저히 이해 할 수 없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어떻게 그런 삶을 살 수가 있어!! 어떻게 참고 살 수가 있어!! 라며 분노하고, 분노했지만 정말 아니러니하게도  한장 한장 읽어내려 갈수록 마리암과 라일라의 어쩔 수 없는 삶에 수긍하게 된다는 점이다. 그것은 믿기지도 않고, 믿고 싶지도 않은 아프카니스탄 여인들의 현실이 아닐까하는 생각에 분노 대신 허탈감이 생겼다. 

    법 아래 보호 받을 수 없고, 어느 누구한테서도 보호 받을 수 없었던, 여자라는 이유로 인권을 유린 당한 마리암과 라일라가 가여운 여인이었지만 그래도 아름다운 이유는 그들이 지켜야 할 가족과 지켜야 할 이유가 있기 때문이었다.  차가운 겨울, 언제 봄이 올지 모르는 아프칸이지만 그 곳의 아프칸 여인들이 숨죽여 자신의 가족과 전통, 문화를 지켜주었으면 한다. 

   소설  곳곳에 드러난 전쟁의 잔혹함은 과거완료형이 아닌 현재진행형이다. 아직도 텔레반은 전쟁을 선포하고 얼마나 많은 아프칸인들이 죽음의 공포와 배고픔의 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지!! 한국 또한 전쟁에서 자유로운 나라가 아니기에 왠지 모를 서글픔이 느껴지기도 했다.
    
   아프카니스탄의 굵직굵직한 현대사속에 녹아져 있는 두 여인의 서글프고도 눈물나게 아름다운 삶의 이야기는 두 손바닥으로 얼굴을 가린채 손가락을 펼쳐 공포영화를 보는 것처럼 조심스러워고, 긴장감을 느끼게 했다. 책을 읽어나갈수록 긴장감 대신 읽기 싫은 마음이 강해 여러번 책을 덮기는 했지만  결말이 무지 궁금하기도 했었다.

     나도 모르는 사이 눈물이 나왔지만 마리암과 라일라의 우정, 마리암의 희생은 가슴을 아리게, 뭉클한 감동으로, 라일라의 새로운 삶을 통해 바라보는 희망은  눈물이 날만큼 가슴 벅찼다. 라일라가 꿈꾸는 카불 재건의 꿈이 다음 호세이니 작품에 담겨져 있었으면 좋겠다. 그건, 소설 속 이야기가 아닌 실제로  내전이 종식되어, 재건되고, 회복된 사람들이 숨쉬는  아프카니스탄의 미래 모습을 담은 이야기였으면 좋겠다. 정말로 그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