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을 건너는 교실
이요하라 신 지음, 이선희 옮김 / 팩토리나인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실패해도 괜찮은 수업, 그때 우리가 꿈꾸던 교실

공식도, 정답도 중요하지 않아.



어릴 적 과학 시간은 늘 조금은 어려웠다.

자연이나 동식물 같은 것에 자연 과학에 대한 호기심은 늘 강했지만,

나이가 들면서 다양한 공식을 외우고, 실험 결과를 정확히 맞히는 것이 전부였던 과학 수업들이

시험 성적에 얽매여 모든 걸 외워야 하는 그런 수업 방식들이 숨 막히게 느껴졌다.

그래서인지 나는 오랫동안 과학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자랐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며 처음으로 이런 생각을 하게 됐다. "만약, 그때 이런 수업을 했더라면?"


이요하라 신 작가님의 '하늘을 건너는 교실'은 '야간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다.

지금은 잘 볼 수 없지만 국내도 얼마 전까지 야간 고등학교가 많았는데 대체적으로 야간 고등학교라고 하면

공부를 못하는 사람들이 가는 곳이라는 시선이 꽤 많았던 것 같다 특히나 상고에 야간반이라면 특히나 선입견이 많았던 모양인데

이 책을 읽으면 그 주인공들이 나쁜 행동을 해서, 어긋나서, 공부를 못해서 야간 고등학교를 갔다는 시선은 접게 된다.

이들은 모두 각자의 사정으로 야간 고등학교에 온 사람들이었으니까.


나이도, 국적도, 삶의 경로도 모든 것이 다 다른 많은 사람들이 모여 과학부 활동을 하며 '화성 크레이터를 재현하는 실험'을 함께한다. 처음에는 그저 실험의 과정을 따라가는 이야기처럼 보였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이 소설은 점점 더 깊은 층위로 우리를 데려간다.그 실험을 통해 자신의 과거와 화해하고, 누군가에게 이해받는 경험을 처음으로 하게 되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확장된다.


이 작품이 특별하게 다가온 건, 무언가를 '알고 싶어 한다'는 감정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오랜만에 다시 떠올리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소설 속 등장인물들은 별빛, 물, 바람, 빛, 시간 같은 일상의 과학적 현상에 질문을 던지고, 그 궁금증을 실험으로 풀어나간다. 그 과정이 꼭 '배움' 같지 않아서 더 좋다. 마치 친구와 놀듯, 선생님과 이야기하듯,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탐구의 시간 속에서 독자인 나도 어느새 그 실험의 한가운데에 서 있는 듯한 기분이 든다.


소설의 줄거리는 어쩌면 익숙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다정하고 유쾌한 선생님, 개성 강한 동료들, 소소한 갈등과 따뜻한 감동이 담긴 마무리.

하지만 이런 클리셰가 전혀 식상하지 않게 느껴지는 건, 그 안에 담긴 진심이 너무도 따뜻하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예상 가능한 전개 안에서도 우리가 한때 품었던 꿈, 그리고 한때 잊었던 감정들이 고스란히 되살아난다.​


아무래도 나는 촌스러운 사람 같다. 사람들이 재미없다고 생각하는 뻔하고 따뜻한 이야기들이 아직도 이렇게 좋으니 말이다.



나는 과학을 좋아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니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이 처음으로 조금 부럽게 느껴졌다.

'과학'이라는 것이 어렵고 복잡한 학문이 아니라 세상과 나 자신을 바라보는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다는 걸 보여줬기 때문이다.


이 책은 궁금한 것을 떠올리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함께 고민하고, 시도하고,

그 끝에서 세상과 만나는 그 순간이야말로 가장 특별한 ‘배움’이라고 말하고 있다.


책장을 덮고 난 후, 나도 모르게 창밖 하늘을 올려다보았다.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소설 속 사람들처럼 어쩌면 나도, 조금은 엉뚱한 호기심을 품은 사람이던 그때를 떠올리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