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이트의 의자 - 숨겨진 나와 마주하는 정신분석 이야기
정도언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프로이트"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은 아마 드물거라 생각이 듭니다.
저 또한 이름은 많이 들었지만 정작 그의 책을 완독한 것은 처음입니다.
선입견때문인지 몰라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어려울 것 같다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심리학 관련 서적을 즐겨 읽는 편이지만 주로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책만 즐겨 읽었기
때문에 솔직히 프로이트보다는 알프레드 아들러에게 한 표를 던지고 싶습니다.
장기 베스트셀러인 「미움받을 용기」 뿐 아니라 아들러 심리학을 열심히 전파하고 있는 일본의 기시미
이치로의 책들은 무척 쉽고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이 책은 어려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대해 쉽게 풀어쓰긴 했지만 역시 제겐 아들러의 심리학이 더
와 닿았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프로이트"하면 꿈과 무의식을 성적 욕망과 연관지어 설명한다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책을 다 읽고 나니 그런 제 생각이 잘못 되었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정신분석"은 "정신과 상담"과 같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비슷하면서도 많이 다른 것 같더군요.
이 책 한 권으로 정신분석에 대한 모든 걸 판단한다는 건 어불성설이겠지만 최소한 정신분석이 어떤
것인지 그 첫걸음을 뗄 수 있게는 해 줍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게 다른 사람과의 소통인 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도 나와 같은 마음이면 좋을텐데, 나의 생각과 행동을 상대방은 전혀 다르게 해석하여 오해가
생기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고 싶어서 심리학 관련 책을 많이 읽는 편인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
조금 어렵긴 하네요.
책의 첫 부분에서는 제일 먼저 자신의 마음이 어떻게 생겼는지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어른이 되면 뭐든지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할텐데, 막상 나이가 들어도 내 마음을
내 마음대로 조정하는 게 쉽지가 않습니다.
내 마음이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 이유는 마음속 깊은 곳에 자리잡은 무의식이 의식을 지배하기 때문
이라고 합니다.
프로이트는 마음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의 세 가지로 나누고 그것을 "지형이론"이라고 합니다.
"지형이론"으로 마음의 움직임을 설명하다가 그 이론을 보강한 것이 "구조이론"입니다.
"구조이론"은 인간의 마음을 이드, 초자아, 자아의 세 가지로 나누고 있습니다. 이드는 아주 원시적인
욕망을 나타내고, 초자아는 금지된 일을 못하게 막고 도덕과 양심, 윤리에 민감하고, 자아는 이드와
초자아, 둘 사이를 중재하는 중재자의 역할을 합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을 움직이는 욕구가 성 에너지인 리비도와 죽음의 욕구인 타나토스(공격성)라고 하는데,
성 에너지를 말하는 리비도때문에 당시 금욕주의가 대세였던 빈에서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고 합니다.
저 또한 "프로이트"의 이름을 떠올리면 꿈을 해석할 때 성욕과 연결지어 설명한 정신분석학자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프로이트에 대해 생각이 조금 바뀌었습니다.
자신의 무의식 저 편에 숨겨져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의 경우, 한 번 읽어서 쉽게 이해하기가 힘들었습니다. 몇 번을 더 읽어야 나의 진짜 속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