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덟 단어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책은 도끼다]를 읽은 여운이 진하게 남았으나, 이 책이 여운을 깎아 먹지 않을까 의심이 생겨 구입을 미루고
미뤘었다. 어느 지치고 힘든 날 충동구매로 내 책장에 들어왔고, 지치고 힘든 아침 들고 나와 흥겹게 읽기 시작했다. 쥐똥만한 성과를 가지고
세상을 구한 것처럼 말하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에서 저자는 서문에 이렇게 적었다.
귀 기울여 주시되 큰 기대는 하지 않길 바랍니다. 인생은 강의 몇 번, 책 몇 권으로 변하지 않으니까요. 만약 강의 몇 번으로 여러분의
인생을 정의해주겠다는 사람이 있다면 의심해봐야합니다. 그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_P.8
읽자마자 마음 녹아내린다. 하지만, [책은 도끼다]로
다른 사람의 마음을 들썩이고 인생을 말랑말랑하게 만들었으면서, 이 무슨 망발인가 싶기도 하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를 여덟 개의 단어로 압축하여 이야기 하였다. 자존, 본질, 고전, 견, 현재, 권위, 소통,
인생이라는 여덟 단어로 풀어낸 이야기는 존경할 만한 어른이, 어렵지 않은 말로, 조곤조곤 전해주는, 거슬리지 않는, 충고 같아서, 읽는 내내
즐겁고 감동적이었다. 더군다나 강연 내용을 정리한 것이라 그런지 책을 읽는 내내 말하듯 읽게 된다. 읽다가 괜히 대답을 해보기도 하고.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여기저기서 깨지고, 다치고, 상처받고, 놀라고, 아팠던 일들이 생각나며, 내 인생의 적절한 순간에 이런 이야기와 충고를 들었다면 나의
20대와 30대는 훨씬 수월하고 심지어는 찬란해 지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이미 스스로 깨지며 만들낸 틀을 가지고 전보다 시야가 넓어진 나이에
읽게 된 것이 안타깝다. 좀 더 손쉽게 얻을 수 있는 평온이었을지도 모르는데. 인생이 헤깔리고 책이 영 안 읽힐 때 다시 읽고 싶은
책이다.
책 상태,
잘 읽힌다. 편집도 이야기도 느슨하다고 생각하고 시작했으나, 읽다보니 감동의 결이 다르다. 각 테마마다 수첩에 적힌 메모를 보여주는 것과
적절한 이미지 편집이 좋았다. 남의 메모보는 재미가 얼마나 좋은지 아는 사람만 안다. 말하는 호흡으로 읽으면 마음이 따뜻해진다. 지쳐서 시야가
좁아질 때 읽으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