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뜬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전작에서 도시를 백색실명으로 몰아 넣었던 작가가 이번에는 눈 감아버린 정치상황에 펜을 들었다. 백색실명의 위험에서도 따뜻한 시선과 나름대로 아늑한 결말을 내어주었던 작가는 눈도 뜨고 먹을 것도 있는데, 세상 살맛 안나게 만들어버렸다. 영화 [짝패]의 마지막대사 "씹팔!"을 책 덮으면서 들릴 듯 말듯 우물거려봐도 분이 안풀린다.
백색실명의 위기 때 눈에 보이지도 않던 정부가 이번에는 주인공으로 초반부터 등장한다. "백색투표 현상"을 야기한 누군지도 모르는 세력에 대해서 경계하다가 겁을 집어 먹은 정부는 시민들을 버리고 도망가며 갖은 실수와 갖은 만행을 저지른다. 원래 정치를 하게 되면 저렇게 되는 건가 싶게 어이없었다. 우리나라 정치인들과 닮은 꼴이다. 전쟁나면 제일먼저 앞장서서 도망갔던 그들 아니던가. 그러나, 위기(?)를 극복할 껀수를 잡았다. 내가 [눈먼 자들의 도시](이하 "눈먼")에서 혐오했던 "첫번째 눈먼 남자"가 4년전 눈먼 도시에서 눈멀지 않은 안과의사의 아내에 대한 정보를 정부관계자들에게 편지를 보내고.
정부관계자는 그 힌트를 낼름낼름 잘도 받아먹고.
잘도 처리(!)하고.
잘도 처리(!!)했다.
이제, 눈먼 우리에게 누가 발디딜 곳을 알려줄 것이며, 어디서 먹을 것을 얻어야 하는지 알려주고 누가 내 눈물을 핥아주고 누가 폭로해준단 말인가. ㅜㅜ;
이 책은 [눈먼]처럼 잘 읽히지는 않는다. 전작 [눈먼]이 너무나 쉽게 읽히고 흥미진진하면서 따뜻했다면, 이 책은 어떻게하면 기회를 봐서 도망가볼까 하는 사람들의 발버둥으로 시작함과 동시에 주된 주인공이 없이 많은 인물이 등장하고 뭔가 일을 저지를 듯 싶으면 잊혀진다. 하지만, 메시지는 더 살에 와 닿지않나 싶다. 우리에게 "백색실명"보다는 "백색투표"가 가까와서 아닐까 싶다.
책을 덮으며, 정치인 필독도서로 지정해야하지 않나 생각해봤으나 그 나물에 그 밥이라고 사건 해결에 관한 교과서로 오해할 듯 싶어 생각을 접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