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뜬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전작에서 도시를 백색실명으로 몰아 넣었던 작가가 이번에는 눈 감아버린 정치상황에 펜을 들었다.  백색실명의 위험에서도 따뜻한 시선과 나름대로 아늑한 결말을 내어주었던 작가는 눈도 뜨고 먹을 것도 있는데, 세상 살맛 안나게 만들어버렸다.  영화 [짝패]의 마지막대사 "씹팔!"을 책 덮으면서 들릴 듯 말듯 우물거려봐도 분이 안풀린다.

백색실명의 위기 때 눈에 보이지도 않던 정부가 이번에는 주인공으로 초반부터 등장한다.  "백색투표 현상"을 야기한 누군지도 모르는 세력에 대해서 경계하다가 겁을 집어 먹은 정부는 시민들을 버리고 도망가며 갖은 실수와 갖은 만행을 저지른다.   원래 정치를 하게 되면 저렇게 되는 건가 싶게 어이없었다.  우리나라 정치인들과 닮은 꼴이다.  전쟁나면 제일먼저 앞장서서 도망갔던 그들 아니던가.  그러나, 위기(?)를 극복할 껀수를 잡았다. 내가 [눈먼 자들의 도시](이하 "눈먼")에서 혐오했던 "첫번째 눈먼 남자"가 4년전 눈먼 도시에서 눈멀지 않은 안과의사의 아내에 대한 정보를 정부관계자들에게 편지를 보내고.

정부관계자는 그 힌트를 낼름낼름 잘도 받아먹고.

잘도 처리(!)하고.

잘도 처리(!!)했다.

이제, 눈먼 우리에게 누가 발디딜 곳을 알려줄 것이며, 어디서 먹을 것을 얻어야 하는지 알려주고 누가 내 눈물을 핥아주고 누가 폭로해준단 말인가. ㅜㅜ;

이 책은 [눈먼]처럼 잘 읽히지는 않는다.  전작 [눈먼]이 너무나 쉽게 읽히고 흥미진진하면서 따뜻했다면, 이 책은 어떻게하면 기회를 봐서 도망가볼까 하는 사람들의 발버둥으로 시작함과 동시에 주된 주인공이 없이 많은 인물이 등장하고 뭔가 일을 저지를 듯 싶으면 잊혀진다.   하지만, 메시지는 더 살에 와 닿지않나 싶다.  우리에게 "백색실명"보다는 "백색투표"가 가까와서 아닐까 싶다.
책을 덮으며, 정치인 필독도서로 지정해야하지 않나 생각해봤으나 그 나물에 그 밥이라고 사건 해결에 관한 교과서로 오해할 듯 싶어 생각을 접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탄남자 2008-10-24 0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을 살까말까 고민하다가 오로지관객님 리뷰를 보니 사야겠습니다. ^^
오로지관객님 리뷰를 보면 정치인의 필독서 행세는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국회의원들은 자신의 프로파일이나 인터뷰에 내세우는 필독서 목록이 가식적입니다. 그들 상당수가 본인이 직접 읽지도 않은 책을 보좌관시켜 뭐가 좋을까 추천을 명한다는 거죠. 그 나물에 그 밥... 오염된 보좌관(정무직4급)은 비서관(정무직5급)에게 추천을 명하고, 역시나 물든 비서관은 그 아래 비서(정무직6,7,9급)에게 추천을 받으며, 비서마저도 인턴에게 추천받을 수 있는데... 버젓이 읽지도 않고 감명깊게 읽은 책 목록에 수록될 수 있습니다. 유권자들은 그들의 진정성을 경계하고 투표를 해야합니다만 뭐 정치 오래하다보면 다들 그놈이 그놈인지라... 어쩌면 읽은 척만이라도 하는 놈이 더 나은 경우도 있습니다. 정치인에게 아무런 기대를 마세요. 그저 정치인은 상대방만 억누르기 위해 존재하는 놈들입니다. ^^;;

오로지관객 2008-11-12 1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그놈들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