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지인은 이 책 덕분에 [안나 카레니나]를 만나게 되었다면서 이 책을 추천했다. 책 소개 하는 책 중에 옥석을 가려준 지인에게 감사하며 읽게
되었는데, 여러가지 책을 섞어 이야기 하면서도 흐트러지지 않고 이야기가 연결되어 보기좋고 읽기도 좋고, 책에 대한 호기심도 불러온다. 강독회의
성격이었던 것을 글로 옮긴 이 책을 읽으면서 여러번 감탄하게 된다. 강독회를 들었으면 좋았겠다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책 읽기에 답이 있을까?
이렇게 읽어라 저렇게 읽어라 하는 방법론 중 한 책을 최근에 읽고 참 못난 책이라고 생각했었다. 그 책에 실망한 까닭에 오래 전에 읽고
책장에만 꼽아 두었던 이 책이 떠올랐다. 저자는 책 이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책에 앞선 생각들, 경험들, 그리고 자신이 느꼈던 느낌들을 되살려
낸다. 책 이야기가 책 이야기 만은 아닌 것이다. 이야기는 차분하고 쉬운 말로 설명하여 분명, 읽고 있는데도 듣는 듯하다. 나에게는 책 읽는 시야를 넓혀준 책이다.
그리고 지인들과 책 한가지를 가지고 다양한 이야기를 할 수 있고 그 이야기에 연결되어 이런 저런 책 이야기도 가능하고 더 넘어가서 다른 책으로
같은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 책이 아닌가 한다. 내가 이미 읽었던 책과 저자의 독서를 비교해 보는 것도 재밌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저자의 느낌을 읽으며 나도 그랬을 것이라고 상상해 봤지만 10년 전쯤에 내가 쓴 리뷰를 찾아 보면 기가 막힐 따름이다. 뭘 느끼긴 느꼈던
것 같기는 한데, 도대체 뭘 느꼈는지 알 수는 없다. 이 책을 읽고 후 전보다는 문장을 꼼꼼하게
읽게 되었는데, 줄 긋고 표시하고 책을 다 읽은 후에 그 부분만 다시 읽어보는 맛도 생각보다 괜찮아 즐기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설피 읽는
독서를 하는 터라 오독이 여전하다. 책 읽는 것이 무조건 공부나 자기 개발과 발전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책 읽은 지식이 켜켜히 쌓여 더
즐거워지는 것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더 즐겁게 읽었는지도 모르겠다. 책을 읽다가 번역이 잘못되었다고-읽기 힘들다는 이유로- 타박만 했지 어떤
사람이 번역을 잘 하는가에는 관심을 두고 있지 않았었다. 잘 읽히면 넘어가고 안 읽히면 타박하는 일을 반복하고 있었는데, 역자에 대한
생각이라니! 무엇보다 김화영 선생을 알게 된 것은 큰
성과였다.
책상태는,
몹시 좋다. 더할나위 없이 좋다. 공들여 편집한 듯 보인다. 독서에 길을 잃었다면 읽으며 재미도 있고 길도 찾고 생각도 하게될 좋은 책이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