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초교회 잔혹사
옥성호 지음 / 박하 / 2014년 3월
평점 :
소설 하나 읽고 리뷰 쓰는 일에 뭐가 그리 큰 결심이 필요하다고 리뷰를 써놓고 하루를 묵혔다. 이미 썼던 거칠었던 이야기들을 하나하나
지워가며 뭐가 문제일까라는 생각을 해봤다. 이 소설의 이야기가 실제로 일어난다면 말도 안되는 일이다. 인간이 신의 이름을 팔아 장사를 하다니.
교회 영업이라고 할 수 밖에 없는 황당한 이야기 아닌가 말이다. 작가의 말 대로라면 대형교회들 안에서는 이 보다 더한 일이 일어난다고 한다.
논리도 없고 상식도 없이 신의 뜻이라고 말하는 목사를 그렇게 추종한다면 그게 목사 팬클럽이지 종교 단체라고 할 수 있을까? 내가 아는
신은 기적을 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상식적이다.
이런 내용을 읽고나서 거칠게 리뷰를 써 놓았지만, 주저하게 된다. 몇년 전 [불교가 좋다]라는
책을 지하철에서 들고 읽었다는 이유 만으로 기독교인들에게 당했던 일을 생각하면, 그 세계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 의견 조차 내 놓고 싶지가
않았다. 그 까닭이 없어 보이는 폭력성에 할말이 잃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용상의 문제는 뒤로 두고 소설에 관해서만 이야기 해보려고 다시 리뷰를
쓰지만, 내용을 빼면 이 소설은 흥미롭지 않다. 작가는 글을 써 온 사람이지만 소설을 잘 쓰는 사람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소설이 너무
직설적이고 솔찍하고 쉽다. 누가 나쁜 놈인지는 생각할 필요도 없다.
나는 어떤 종교인이든 종교를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다른 사람들보다 평온하고 착해야된다고 생각한다. 신을 믿는 자는 신의 뜻에 따라 신을
섬기고 이웃과 평화롭게 살아야 한다. 그들 말에 의하면 모든 일이 신의 뜻대로 되는 일이거늘 안달복달할 이유가 없는 것 아닌가. 가끔 대형
교회들이 하는 해외선교를 보고 있으면 과연 신을 전파하려고 하는 것인지 상대를 자극하려는 것인지도 헤깔린다. 믿는 것이 있다면 그 믿는 것이
좋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만으로도 선교가 되지 않을까? 의식주를 미끼로 말도 모르는 사람에게 따라 부르게 하고 노래 부르게 하는 것이
선교일까? 그런 선교를 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김건축 목사라는 인물이 이 소설의 핵심인물이다.
정 목사가 은퇴를 하고 그 후임으로 아프리카에서 선교를 하는 김건축 목사를 지명한다. 여러 사람들의 반대가 많았다고 하는데, 정목사는 그
사람들이 하는 현실성 없는 이야기를 다 믿지는 못한 듯 하다. 하지만 세상에 믿지 못할 일이 얼마나 많이 일어나나. 내가 오래 전에 함께 일했던
어떤 사람은 한 자리에 한 가지 사건으로 함께 이야기 나누는 세 사람에게 각각 다른 거짓말을 하는 기적을 행하기도 했다. 그리고 따져 물으면 꼭
하는 말이 있다. 논점과 핵심은 그것이 아니라는 것, 거짓말을 하였으나 거짓말은 아니라는 것, 희생하는 것 하나도 없지만 항상 희생한다는 것.
돈은 받았지만 그 돈은 돈이 아니라는 것, 본인이 쓰지 않은 책도 본인의 책이 되고, 말하지 않은 말도 말이 되며, 행하지 않은 일도 꾸미게
되는 기적 환타지 영역이 이 소설에서 존재한다. 김건축 목사가 꿈꾸는 기독교 세계 정복은 알맹이가 없지만 그 비상식을 유지하기 위해 참모들은
끊임없이 움직인다.
그 중 장세기 목사는 성실한 사람으로 종교적 신념이 강하고 믿음 또한 강한데 귀가 얇다. 김건축 목사의 교회에서 처음에는 찬밥 신세를
면하지 못하다가 약간의 오해로 핵심이 되는 인물이다. 자신이 불리한 처지에 있을 때는 김건축 목사의 거짓에 울분을 토하지만, 권력의 맛을 보았을
때 전전긍긍하며 그 자리에 대해 쉽게 합리화 시키는 인물이기도 하다. 이야기는 장세기 목사의 시선으로 이어지고, 김건축 담임목사 아래서의 5년에
대한 이야기다. 서초교회는 그 후 어찌 되려나모르겠다.
이 소설에는 세상에 대한 작가의 비아냥이 많이도 섞여 있는데, 신지식인이라는 잊혀졌던 그 이름과 댓글 알바, 반대 편이면 무조건 '사탄',
'빨갱이' 를 몰아버리고, 내용은 듣지도 않고 '할렐루야'를 남발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촘촘히 박혀 있다. 그런데, 문득 그런 생각도 든다.
이들이 이렇게 승승장구한다면, 이들의 기도빨이 신에게 직접 닿아 사랑받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 으.. 싫다.
책 상태는,
평범하게 좋다. 표지 그림도 마음에 들고 가벼워서 들고 읽기 좋다. 그러나 내용 상 읽는 내내 불편하고 속이 터진다. 읽어보라고 추천은
못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