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영화포스터 커버 특별판)
줄리언 반스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책을 덮으면서 뒷통수를 맞은 기분이었다. 마지막 몇페이지가 뒷통수 치는 반전이라는 등의 말은 여러번 들었던 터였다. 마지막 페이지를 먼저 읽고 싶은 유혹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전체를 읽지 않으면 마지막을 읽어봤자 무슨 내용인지 알 수 없다는 말이 덧붙여져 있었던 탓에 시작부터 끝까지 달리듯 읽었다. 그리고 마지막 페이지를 덮은 후에, '에이. 씨'를 외치며, 다시 앞으로 돌아가 읽기 시작했다.

이런 일이 일어날까봐 이야기를 곱씹으며 소설을 읽었다. 한번에 읽고 비밀을 풀겠다는 생각으로 이야기의 퍼즐을 모으고 맞추려는 순간에서야 전체 그림을 보게 된 기분이다. 비밀이 문제가 아니라 이 이야기 전체가 퍼즐이었다. '이제 퍼즐 다 모았으니 가볍게 2,000피스 퍼즐을 맞춰보렴'이라고 줄리언 반스 선생이 웃으며 팔짱끼고 저 앞에 서 있는 것 같았다. 퍼즐 테두리만 겨우 맞추고 있는 나는 얄미워서 발을 동동구르며 다시 읽기 시작했다.

 

주인공 1인칭 시점인 소설로 진정한 1인칭이다. 토니 웹스터는 평범하게 살아가는 노인이다. 어느 날 받은 편지 한통으로 삶의 기억들이 하나, 둘 재편성 된다. 고등학교 시절 에이드리언을 선망했던 토니는 자신이 사귀었지만, 물음표만 남기고 헤어져야했던 베로니카가 에이드리언과 사귀게 되었다는 것을, 에이드리언의 편지로 알게 된다. 베로니카와의 교제에 대해서 알리는 목적이었겠지만, 정중하게 허락을 구하는 형식을 갖고 있는 그 편지에 토니는 화가나긴 했지만 쿨하게 인정하는 답장을 보내고 자신의 삶을 살아갔다고 생각한다. 그 얼마 후 에이드리언은 자신의 자살 이후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체 자살한다.

 

40년 후, 베로니카의 어머니인 사라로부터 500파운드의 돈과 에이드리언의 일기장이 유산으로 남겨졌다는 소식을 접한다. 돈은 당장 받을 수 있지만, 일기장은 베로니카에게 있어 바로 받을 수 없다는 변호사의 말. 토니는 베로니카에게 그 일기장을 받아 내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한다. 은퇴하고 삶을 마무리하는 사람으로써 뭔가를 마무리 지어 놓고 관조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서 일까? 토니는 남의 삶에 대해 나름의 평가를 내리고 확신한다. 그때, 베로니카에게서 받은 에이드리언의 일기장 중 단 한장에 적혀 있는 암호를 받아 들고 토니는 나름의 상상력을 펼친다. 베로니카는 일기 한장을 보낸 후, 토니가 그들에게 보낸 편지의 복사본도 보내주는데, 토니가 쓴 편지는 토니의 시간과 기억을 뒤 흔든다. 그렇게 화낼일이 없을 것 같은 베로니카가 지나치게 화를 내며 자신을 대하는 것에, 베로니카가 여전히 모난 여자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토니는 자신이 40년 전에 에이드리언에게 보낸 진짜 편지를 받아 들고 당황할 수 밖에 없었다.

역사가 무엇인가에 대해 에이드리언이 라그랑주를 인용해 '역사는 부정확한 기억이 불충분한 문서와 만나는 지점에서 빚어지는 확신'이라고 했던 것이 귀에 쟁쟁 울리는 듯 하다. 이야기는 그리 쉽게 끝나지 않는다. 토니의 사과에도 여전히 비 협조적인 베로니카와 그 베로니카에게 일기장 전체를 받고 싶었던 토니. 결국 베로니카의 알수 없는 질주와 에이드리언과 꼭 닮은 남자를 보고 토니는 자신의 저주로 베로니카가 에이드리언의 아이를 낳고 그 아이가 멀쩡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났다는 사실에 미안해 한다. 그러나 진실은 더 먼 곳에 있었다.

 

이 소설은 한번에 끝나질 않는다. 연타로 반전을 겪은 후, 멍한 상태로 바로 다시 읽고 퍼즐 맞추는 작업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두번째 읽고 책을 덮으며, 1부에 나오는 나열된 이야기들이 2부와 맞물려 돌아가는데, 잘 맞물린 기계가 돌아가는 듯 했다. 기억이 삶을 얼마나 농락하는지, 기억에 의존하여 진실을 만들어가는 일이 얼마나 허술한 일인지. 지난 주말에 술자리에서 친구들과 짰던 계획 조차도 다시 만나 이야기해보면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되는 것을 우리는 경험으로 알고 있다. 하물며, 세월의 무게가 더해진 기억은 오죽할까. 그 모든 복잡한 이야기에도 불구하고 결론은 토니 웹스터 같은 남자는 만나고 싶지 않다는 것으로 끝났다.

 

고백하자면, '이동진의 빨간책방'에서 이 책의 모든 비밀을 들은 적이 있다. 그때의 내 느낌은 뭔소린지 모르겠다는 것이었고, 이 책을 읽는 중에도 이 소설의 이야기를 기억해내지 못하고 있었다. 물론 마지막 반전을 알게 되었을 때도 깜짝 놀라기도 했다. 집중하고 곱씹어 듣지 않는다면, 듣는다는 것이 얼마나 무의미 한지 이 책의 내용과 맞물려 생각하게 되었다. 방송 들을때는 그다지 매력적으로 생각하지 않다가 다른 책 사려고 검색하다가 아는 제목이고 할인까지 하기에 구입했는데, 이렇게 몰아치게 읽게되는 소설일 줄이야.

 

책 상태는,

양장으로 손에 잘 들어오는 사이즈이고 가방에 넣고 다녀도 부담되지 않는 사이즈다. 책은 잘 읽힌다. 현재의 이야기를 시작하면 진실이 궁금하여 책을 놓을 수 없다. 특히나 40년 전에 쓴 편지 발견 시점 이후로는 이야기를 끊기가 어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