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끝까지 읽어내지 못하고 쓴 리뷰.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책 욕심이 많아 책을 책장에 꽂다 못해 그 위에 눕히고, 작은 책은 책 앞에 여유에 눕히고 그것도 안되면 바닥에 쌓고 올라갈 곳도 없으면서 계단을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간혹 그렇게 많이 쌓인 책 속에서 길을 잃고, 책에 대한 흥미마저 잃는 순간이 있다. 나에게는 지난 2년이 그랬는데, 그때는 독서의 방향에 의문이 생기기도 하고 읽는 의욕과 호기심이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던 시기이다. 그때 누군가에게 그 이야기를 털어 놓으니 이 책을 추천해 주었다. 그러나, 이 책 또한 읽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아 메모해 두었다가 이제서야 읽게 되었는데, 읽다보니 뻔한 이야기다. 추천해 준 사람이 기억이 안나길 다행이지 기억이 났으면 '왜 추천했냐'고 따져 물을 뻔했다.

 

나의 독서법은 호기심으로 시작한다. 한 권을 읽고 난 후에 다음 독서는 그 책의 참고서적인 경우가 많고, 그 책에서 내가 몰랐던 부분, 인물, 사건, 지역, 같은 시대의 책을 읽어보거나 작가가 영향을 받았다는 책, 등장인물이 읽었던 책, 주인공이 좋아했던 작가의 책을 찾아 읽는 것으로 범위를 넓혀가는 편이다.

하지만, 말만 거창했지 짧은 독서경험으로 깊이는 미천하고 그 넓이가 아주 넓어지진 않는다. 어떤 책은 줄을 긋거나 포스트 잇을 붙여가면서 읽기도 하고 어떤 책은 책 전체가 하나라는 느낌으로 읽기도 한다. 그리고 읽은 후, 되도록이면 리뷰를 써 놓으려고 노력한다. 쓰는 동안의 되새김으로 나중에도 그 당시의 느낌을 어렴풋하게나마 기억해 낼 수 있고 같은 책을 다시 읽었을 때, 그 기록으로 현재와 비교해 볼 수 있다. 더딘 방법이기는 하지만, 반복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책에 대한 이해도 높이고 몇년을 그렇게 반복하고 나니 그나마 남들이 알아 볼 수 있는 문장과 문단을 쓰게 된 것 같아 가끔 뿌듯하기도 하다. 예전에 써 놓았단 손가락이 오그라드데다가 아는 것도 없으면서 새로 몇가지 알게 되었다고 잰 체하면서 쓴 글도 그냥 두고보면 반성도 되고 의미도 있고 재미도 있다. 이런 나름의 독서법을 갖고 있는 내가 읽기에 이 책은 학습적이다.

이 책의 중반까지는 책 읽기에 대한 설명을 한다. 속독하지 말고 천천히 읽어라, 비교해서 읽어라, 의문을 갖고 읽어라, 매력적인 '오독'을 하여라, 줄치고 표시해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한다고 생각하고 읽어라, 다시 읽어라 등등. 짧은 독서 인생이라도 반복적으로 읽고 쓰다보니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하게되었던 것들이고 방법과 정도가 다를 뿐 책읽는 주변인들이 다 하고 있는 것들이다. 물론 저자의 글 '마치며'에 나 같이 이야기 하는 사람에게는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하여 '실천편'을 읽어보려 노력했지만, 국어 수업 듣는 것 같아서 읽기 어려웠다. 그래서 '실천편'은 읽다 포기했다.

괜히 읽었다 싶다. [청춘의 독서]나 [책은 도끼다]를 읽고 감명 받았던 덕분에 남들의 책읽기 책에 좋은 느낌을 갖고 있던 터라 이 책을 선뜻 읽었건만 나와는 안맞는다. 굳이 찾아 읽어 놓고선 '왜 나를 가르치려 드는 것이냐'라고 탓하게 되었다. 다른 사람들의 느낌은 어땠을까 싶어 리뷰를 살펴 보니 자신들의 독서를 반성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독서도 취미인데, 읽고 재밌고 능력되면 발전도 하고 그러는 것이지 뭘 그런걸 반성까지 하고 그러나 모르겠다. 독서도 자신만의 방식이 있는 것이니, 저자가 이런 독서법을 갖고 있다면 그 중에 몇가지 마음에 드는 부분만 참고 하면 되는 것이다. 활자화된 이야기를 지나치게 신뢰하는 것은 문제 아닐까 싶다. 하나의 의견이고 방법일 뿐이다.

책 상태는,

손바닥 만한 양장이다. 양장일 필요 없는 양장책인데다가 주요 문장을 굵은체로 일부러 찍어 놓아 생각하면서 읽기 어렵다. 줄치면서 읽으라면서 미리 굵게 표시해서 주는 것은 내용과 편집이 맞지 않는 것 아닌가 싶어 거슬렸다. 그런데, 소제목들과 굵은체의 글씨만 읽어보니 얼추 문장도 되고 그 부분만 읽어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책이라는 것이 놀라워서 저자의 배려인가 잠깐 생각해 보기도 했다. 나한테 추천한 사람이 기억안나는 것은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