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 - 뜨거운 기억, 6월민주항쟁
최규석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나에게는 묻고 따질 필요 없이 신간이 나오면 할인이고 뭐고 일단 사도 후회를 안할 만화가가 몇명 있다. 최규석도 그 중 하나다. 이 책은 사 놓고 몇번을 읽었으면서도 글 한자 남기지 못하고 몇년이다. 올 6월에도 어김없이 이 책을 읽게 되면서도 리뷰하나 남기질 못했다. 그러다, 서울역사박물관의 작은 전시 "6월의 연가" 중 최규석의 만화를 발견했다. 전시의 영향인가 뭔가 한글자 남기고 싶어졌다.
지금은 99도다!
100도씨를 향해 민주주의는 다시 끓어올라야 한다.
1987년의 그 6월을 기억하기에는 작가나 나나 그 당시 너무 어렸다. 작가는 언제 인지했는지 모르겠지만 나는 머리가 좀 굵게 되었다고 생각했을 즈음에야 그 억울함들은 문자로 읽고 누군가의 거친 추억으로 들을 뿐이었다. 87년의 6월 그 자리에 있었다는 자랑스러운 추억담을 일삼은 별볼일 없는 사람들을 보면서 여려가지 씁쓸한 생각도 했던 것 같다. 처음에는 억울과 안타까움으로 읽었던 것 같다. 그 느낌은 한발짝 물러선 느낌이고 약간의 벽이 있어 내가 그 속에 들어가지 못한 듯한 느낌이었던 것 같다. 몇년 사이에 나도 조금은 성장했고 나름대로 많이 읽었으며, 내 시야도 조금은 넓어졌고 감각도 더욱 커진 듯 하다. 이제 이 이야기가 아프고, 현재에 발을 딛고 살아가고 있지만 그냥 지난 일 같지만은 않다.
윤여준 전 장관의 문재인 대통령후보에 대한 찬조연설에서 본인은 보수이면서 민주주의에 대해 기여한 적이 없으나, 그 혜택을 누구보다 많이 누렸다고 빚이 있다는 이야기를 한 기억이 난다. 나도 6월의 그들에게 빚이 있다고 생각한다. [26년]의 경우도 그렇고 이 이야기도 읽는 사람에 따라서는 과장된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를 할지도 모르겠으나, 나는 이 만화가 너무 순하게 그려진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민주적인 두명의 대통령을 거쳐 단 한명의 대통령의 임기만을 지켜봤음에도 민주주의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왠만한 사람은 다 안다. 누군가 피를 흘려 쟁취한 아름다운 가치가 이렇게 쉽게 무너지고, 너무 평온한 세상을 살았기에 무엇을 침해당하는 것인지도 잊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 어렵게 쟁취한 민주주의다. 지켜야 한다. 6월민주항쟁계승사업회로부터 중고등학생들의 현대사 수업의 보충교재용으로 요청 받아 그린 만화라는데, 격렬한 구호보다는 나를 그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게 만드는 훌륭한 책이다.
책 상태 좋다. 리뷰가 두서없지만 토 달지 말고 6월에는 이 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