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의 집 - 고택 송석헌과 노인 권헌조 이야기
권산 글.사진 / 반비 / 2012년 11월
평점 :
도서관에 책을 빌리러 갔다가 신간 코너에 있는 책을 표지만 보고 들고 나왔다. 비가 오는 날 이런 두껍고 하얀표지의 양장 책이 비에 젖을까 싶어 손목으로 책을 감싸다 보니 손목 안쪽이 벌겋게 긁히고 간질간질 했다. 그렇게 힘겹게 들고온 책을 열어보니 글과 사진이 어우러진 사진집, 고택과 노인의 이야기다. 표지만 보고 빌렸음에도 깜짝 놀랄만큼 만족도가 높은 책이었다.
작가가 송석헌이라는 고택의 보수 전 마지막 모습을 촬영하러 봉하로 향한다. 영상 작업 중에 사진이 필요하단 요청 때문이었다. 작가는 짧은 시간에 서둘로 고택을 찍다가 노인의 걸음과 말씀에 매료된 듯 하다. 몇 번 들르지도 않았건만 고택 송석헌에서 노인 권헌조 노인을 만나 그 노인의 사진을 찍고 말씀을 듣고 바라봤으며, 돌아가시는 길까지 사진으로 책에 담았다. 그리고 제목과는 다르게 권헌조 조인은 권산 작가의 아버지는 아니었다.
나는 뒤에 나올 내용도 모르면서 100쪽 넘겨 읽으며 이미 목구멍이 시큰하고 눈이 달아 올라 사진과 글을 읽기가 힘들어졌다. 생면부지의 작가와 생면부지의 노인이 덤덤하게 사진과 글을 풀어내는데 그게 뭐가 서럽다고 이렇게 혼자 꺽꺽 거리나 싶었다.
새것을 싫어한 것은 아니지만 각별한 관심을 보이지는 않았고 낡고 오래된 것을 추종하지는 않았지만 선호했다._10쪽
이 책 전체의 이야기가 위 문장에 스며있는 듯 했다. 노인의 이야기도 아니고 작가의 이야기도 아니고 다큐멘터리 PD의 취향을 이야기 하는 부분이었는데도 말이다. 삶의 이야기는 누군가의 삶을 되밟아 가보지 않아도 느껴질 때가 있다. 그런 이유로 그 짧은 만남이 이런 책으로 나오지 않았나 싶다.
고택을 덤덤하게 찍었다. 노인이 혼자 사는 고택이었는지라 깨끗하거나 정리된 느낌이 아니라 뭔가가 허물어가는 모습이었건만, 쓸쓸함 속에 온기가 느껴지는 사진이었다. 특히나 흐트러짐 없이 글을 써내려가시는 권헌조 선생님의 모습과 카메라를 응시하는 시선, 그리고 병원에서의 모습이 대비되어 안타깝게 읽었다. 고택과 어르신은 한몸 같았다.
책 상태는,
사진집이다. 양장은 무겁지만 넘기기 쉽게 뒷면만 붙어 있다. 신경쓴 편집이 예쁘다. 글씨만 읽는다면 한시간도 안되어 다 읽겠지만, 무겁기도 하고 호흡을 두고 읽혔으면하니 조용하게 책상에 두고 읽는 것이 좋을 듯한 책이다. 다 읽고, 조용히 구입했다. KBS 스페셜도 찾아 볼 참이다. 잘 팔리지도 않을 것 같은 책을 곱게 만들어 세상에 내 놓은 출판사에게 감사의 마음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