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 대한민국 30대를 위한 심리치유 카페 서른 살 심리학
김혜남 지음 / 갤리온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세대나 자신들은 특별하다고 생각한다.
이 특별하다고 여기는 생각이 부정적인 쪽으로 전개되면 입시 제도에 자신들만 불이익을 받았다고 여겨 '저주받은 **학번' 과 같은 용어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말은 내가 속한 세대를 포함하여 수십 년은 들어본 것 같다. 반면 긍정적인 면이 부각되어 전개되면 자신들만이 특별한 자질과 특성을 가진 것처럼 ~~세대 라는 말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서른 살은 특별한 나이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것은 10대가 특별하거나 20대가 특별하듯이 특별한 것이지 특별히 특별한 것은 아니다.
각 나이 대는 그 만의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특별하고 의미가 있지만, 그것은 당사자들의 문제와 고민으로 남겨진 채 우리는 각자의 나이 대에 대한 고민을 스스로 하고 해쳐 나가게 되어있다. 이런 것은 우리 나라 사람들만의 비정한 방식일까? 그것은 진심으로 궁금하다.
우리나라만의 문제든 아니든 우리에게 인생의 각 단계별로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만은 사실이지만, 실제로 주어지는 도움이 참으로 빈약하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특히 요즘처럼 부모의 경험에서 도움을 받기에는 세상이 너무 빨리 바뀌고 있으며, 도움을 줄만한 형제 자매가 드문 시대에서는 경험에서 우러나온 조언을 듣기란 참으로 힘들다.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시적인 제목에 이끌려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지만, 읽는 내내 나는 이 책이 그런 조언과 도움을 주는 책이라는 느낌을 받으면서 읽었다. 21세기 초 한국이라는 곳에서 사는 서른 살 즈음의 사람이 공통적으로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고민과 문제점을 잘 뽑아 짚어주고 이야기를 들려주고 이야기를 들어준다.(들어주는 것 같은 느낌이라는 뜻이다)
이 책에는 수많은 사례가 등장한다. 많은 사례로 내용을 이끌어가는 책의 경우, 논점이 흐려져서 다 읽고 나도 뭘 읽은 지를 모르게 되는 함정에 빠지게 되기 쉬운데, 이 책의 경우는 나름대로 논리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길을 잃지 않고 책을 다 읽을 수 있었다.
그 구성이란 이런 것이다.
(서른 살 즈음인) 우리가 겪(을수 있)는 문제 점들은 무엇이 있을까를 살펴보고 이런 문제점들에 대해서 그 동안 어떻게 대처해오고 있었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나서 책의 후반부에는 일, 인간관계, 사랑 등에 대해 앞서 말한 대로 많은 사례를 들어서 설명을 해주고 있다.
특히 그 동안 어떻게 대처해오고 있었나 하는 부분이 중요하게 여겨지는데, 이를 방어기제라고 부른다. 이 방어기제가 살만큼 살아온(?) 서른 살들에게 걸맞지 않게, 서투른 채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나이 대를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읽어본다면 스스로를 돌아볼 시간을 갖게 해줄 그런 책이 아닐까 싶다. 더욱이 현재 자신의 처지에 대해서 고민에 빠져있다면 더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나처럼 서른 즈음에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한(?) 사람이라면 몇 년쯤 뒤라도 읽으면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