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연수라는 작가의 글이 좋다는 이야기를 주변 사람들로부터 많이 들어 왔다. 나는 잘 모르는 평론가의 현학적인 평가보다는 나와 친하고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 투박하게나마 표현한 칭찬에 더 끌린다. 그들이 좋다고 하면 나도 읽어볼 요량이 있다. 그래서 이 작가의 책을 한권 골라 봤다. 어떤 내용인지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그냥 제목만 보고 가장 끌리는 한권을 골라 주문했다. 때로는 너무 많은 사전 정보가 오히려 올바른 선택을 방해하기도 한다. 사실 작가에 대한 어느 정도의 믿음, 아니 아주 약간의 호기심만 있다면 그 작가의 저작중 랜덤하게 고른다는 것은 그리 큰 위험을 내포하고 있지도 않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은 장편 소설이다. 주인공이 있고, 그가 회상하는 1991년이 있다.  그가 사랑했던 여자가 있고, 그가 만들어 보고자 했던 나라가 있으며 그 나라의 주변을 살아 갔던 다른 사람들이 있다. 그가 회상하는 1991년은 과거 100년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의 궤적속에서 존재한다. 그 역사의 거대함속에서 때로는 소멸되어 가고 때로는 서로 부둥켜 안고 버티어 내는 개인이 존재한다. 주인공은 회상이라는 방식을 통해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는 듯 이야기하지만 사실 역사와 국가라는 거대한 구조물 앞에서 보잘 것 없는 개인중 하나로 존재하는 자기 자신의 위치 또한 잘 알고 있다.

김연수라는 작가가 역사 속에서 존재하는 개인을 소재로 소설을 써 왔다는 사실은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씨네21의 김혜리 기자와 행한 인터뷰를 통해 알게 되었다. 그리고 때로는 연애와 사랑을 소재로도 글을 써 왔다는 사실도  그의 저작 목록을 확인하면서 알게 됐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도 성글고 거칠게 이야기하자면 역사와 사랑, 이 두가지에 대한 소설이다. 서사 구조는 마치 폴 오스터의 브루클린 풍자극을 보는 듯 꼼꼼하게 짜여져 있다. 소설의 전반부에 깔아 놓은 복선들은 중반부에 이르러 국면이 전환되면서 소설의 주제를 이야기하기 위해 요긴하게 쓰인다. 미스테리적인 구조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책장을 넘기는 속도가 제법 빠른 편이다. 재미있다는 얘기다. 구조를 파악하며 읽을 때 느끼는 지적인 흥미도 꽤 된다. 여기에 더해 (나는 비록 손발이 약간 오그라들 정도로 유치하게 느꼈지만) 소설 곳곳에서 풍부하게 제공되는 인문학적 배경들은 어쩌면 약간의 지적 허영심까지 채워줄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잘 만들어진 한 편의 장편 소설을 통해 이 작가는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일까. 역사의 슬픔 앞에 한없이 무기력한 한 인간이 어떻게 뒤틀려 가고 그 과정에서 소외되어 가는 인간 존재의 외로움? 혹은 그 거대한 파도 위에서도 결코 포기할 수 없고 쉽게 사그러들지 않는 인간성, 혹은 사랑에 대한 가치? 잘 모르겠다. 되게 재미있게 읽긴 읽었는데 글자들 사이에서 떠오르는 강한 이미지가 없었기 때문일까, 나는 책을 다 읽은 후 한참동안 생각을 골똘히 해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이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약간 헷갈렸다.  작가의 인터뷰를 찾아 가며 ‘해답’ 혹은 ‘해설’ 을 읽는 행위는 개인적인 궁금증은 해소할 수 있을 지언정 그리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길 것 같아서 그만 두었다.

그의 문장은 정갈하게 쓰인 편이지만 가끔 허황된 욕심을 부리기도 한다.  그래서 본받고 싶지는 않다. (내가 한자 세대가 아니기 때문일까!) 나는 여자친구와 데이트할 때 그렇게 장황한 어휘를 구사하며 철학과 역사에 대해 논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의 사랑이 달콤하다거나 애달프게 보이지도 않았다. 오히려 맥거핀처럼 쓰이는 느낌이 들어 그리 기분이 썩 좋지도 않았다. 이길용이라는 인물을 창조해 내는 과정은 무척 흥미로웠다. 이 소설이 가치를 가진다고 생각하는 이유도 그의 존재때문일 것이다. 소설을 읽는 내내 영화 <피와 뼈> 와 <타인의 삶> 이 생각났다. 그 영화들처럼 강렬한 인상을 받지는 못했지만, 이 소설과 김연수라는 작가를 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게 되었는지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그의 소설 두세편을 더 읽어볼 참이다. 그런 후에야 비로소 그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덧. 어제는 김연수의 소설을 읽었고 오늘 저녁에는 임연수를 구워 먹었다.


12. 25. 20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