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내일을 어떻게 살 것인가 - 흔들리는 내 인생을 위한 첫 『논어』 인문학
제갈 건 지음 / 마이디어북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일을 어떻게 살 것인가>를 읽고.

가끔 삶이 무너져 내릴 때가 있다. 어떻게 살아야 할지 한 치 앞이 깜깜해 아무것도, 아무생각도 하기 싫은 순간이 온다. 나는 책 속으로 파고드는 것 외엔 다른 방법을 알지 못한다.
책 제목 <내일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서 나는, 오늘은 ‘어떻게 버텨내야 할 것인가’라는 답을 찾고 싶었다. 오늘을 나는 왜 살아야 할까? 죽고 싶은 만큼 괴로운데.

논어를 읽어본 적이 있다. 20대에는 전공책으로, 30대에는 수험서로, 그리고 40대에 지금. 같은 문장을 보고 있지만, 그때마다 읽는 나의 태도는 달랐다.

공자는 중용의 덕이 지극하다고 했다. 비교와 경쟁을 관두면 누구나 오래 할 수 있다고.
中庸其至矣乎 民鮮能久矣 중용의 덕이란 지극하지만, 이를 오래 할 수 있는 백성이 드물다.
여기서 재밌었던 부분은 저자가 알려준 동양의 ‘딴사람이 됐다’라는 말의 의미다.

- 變에 성공한 딴사람: 물리적 모양이 바뀐 것.
ex. 뚱뚱했던 사람이 마른 사람으로 바뀌거나, 캔을 밟아 찌그러뜨리는 일은 모두 變의 영역.
- 化로 성공한 딴사람: 화학적 성질이 바뀌는 것.
ex. 얼음이 물이 되고 다시 물이 수증기가 되듯이, 이전에 그것이 무엇이었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바뀌는 것. 인간에게 化란, 그 인격 자체가 완전히 바뀌는 것이다. 꼭 외적으로 뿐만 아니라 내적으로 ‘정말 저 사람이 같은 사람이 맞나?’ 싶을 정도로 ‘딴사람’이 되었을 때, 우리는 비로소 그 사람이 變化했다고 말한다. 진정한 변화는 몸 뿐만 아니라 마음마저 갈고 닦아야만 완성되는 것이라 저자는 설명한다.

天生我材必有用 이 문구를 보니, 웃음이 난다.
이백의 시 將進酒에 나오는 구절인데, 한창 공부하던 시기에 중국어로 많이도 외우고 다녔다. 왜 그랬을까. 내가 이렇게 열심히 공부하고 있고, 어딘가에서 인재(=나)를 알아보고 데려가 써줄 거라는 막연한 기대와 희망이 있었다. 그때 나의 내일은 핑크빛이었고, 자신감이 넘쳤으며, 누구와도 비교하지 않았다. 그런데 나는 요즘 이 말을 쓰지 않는다. 좋아하지도 않는다. 찬란한 쓰임이 아니라 쓸모가 없다고 여긴 시간이 나를 한동안 뚫고 지나갔기 때문이다. 그러나 책을 통해 배운다. 초광접여의 有用之用, 즉 쓸모 있음의 쓰임 뿐만 아니라, 有用之害 과 無用之用을 차츰 알아가고 있으니까.

세상에 해와 달 같은 존재가 있다. 물.
해와 달, 물. 이들의 공통점은 세상의 모든 생명을 위해 쉬지 않고 일하며 만물을 길러준다는 것이다.
키아로스쿠로. 빛과 그림자. 나는 요즘 그림자에 집중하는 중이다.

p.93 지혜라는 한자를 보면, 慧는 빗자루彗 와 마음心이 결합한 한자다.
결국 지혜로운 사람이란 화살처럼 귀에 날아와 꽂힌 뭇사람들의 말을 빗자루로 먼지를 쓸 듯 잘 쓸어낼 수 있는 사람이다. 또 세상에 난무하는 말들 때문에 쌓인 내 마음의 먼지도 먼지떨이로 먼지를 털 듯 잘 털어낼 수 있는 사람이다. 이 과정이 가능하려면 우선 혹하지 말아야 한다. 혹하지 않음이란 의심하니 않음을 뜻한다. 대체로 자기 자신을 믿지 못하는 사람은 남들과 세상도 믿지 못한다. 반면에 자기 자신을 믿는 사람은 남들과 세상도 의심하지 않는다. 혹하지 않음이란 절대 무조건 믿지 말고, 또 일단 의심하고 보라는 의미가 아니다. 정말로 혹하지 않는 사람은 화살처럼 쏟아져 들어오는 뭇사람의 말 가운데서도 스스로와 스스로가 믿는 바에 대하여 흔들리지 않는 사람이다. 우리는 이런 사람을 일러, ‘슬기롭다’라고 이야기한다.

요즘 몸이 많이 아프기도 했고, 내 쓰임은 어디에 있나 고민하는 시기를 지나가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내가 먼지같다고 느껴진다. 우주의 모래알갱이 쯤이다. 그래서 마음이 편하다. 뭘 그리 고민하며 살까싶다. 알코올 중독자였던 사람도 잘살고, 학교 일진이었던 사람도 잘 살고, 그렇게 자기 살길은 자기가 살아내서 잘 살아가면 되니까. 나만 잘하면 된다.

#내일을어떻게살것인가 #제갈건

이 서평은 #헤세드의서재(@hyejin_bookangel)님이 모집하신 서평단에 당첨되어 #마디북스출판사(@mydear___b)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통스러운 기억을 신이 나서 말할 수도있다는 것을 마흔 넘어서야 이해했다. 고통도 슬픔도 지나간 것, 다시 올 수 없는 것, 전기고문의 고통을 견딘 그날은 아버지의 기억 속에서 찬란한 젊음의 순간이었을 것이다. - P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 신화를 이해하는 12가지 열쇠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이윤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0년 6월
평점 :
일시품절


얼마전 손숙씨의 「셜리 발렌타인」 이라는 연극을 봤었다..거기서 셜리가 일상의 루틴함을 깨고 떠난곳이 바로 그리스이다...그리스라면 '산토리니'를 빼 놓을 수 없지...여행가서 보고싶다....이렇게 잼있게 본 연극하나가 나의 생각고리를 계속 만들어주고 있었으니...

이 즈음 만나게 된 책이 바로「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이다. 앞에서도 언급했드시 그리스의 산토리니는 내일생 중 한번쯤은 방문해 봤으면 하는 그런 곳이다....오늘은 산토리니를 방문하는 대신 그리스 신들을 만나기로 했다..로마에 있는 신을 만나는 써비스와 함께,,,ㅋㅋ

제우스, 헤라, 포세이돈, 테메테르,,,거기에 아프로디테, 헤르메스,,,등...많은 신들의 이름을 다 언급하는 건 의미가 없을 것 같지만...^^;; 그 이름 하나하나 읽어내려가면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이 이어졌다...ㅎㅎ,,헤르메스는 울 엄마가 좋아하는 명품샵 이름이고,,,아르테미스는 달타냥에서 나오던 이름이고,,,어려운 신들의 이름이었지만,,,한 번 읽고, 두 번 읽으니,,,그 이름들이 철이, 영희처럼 넘 친숙하게 느껴지는게,,,기분좋은 신들과의 만남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이야기를 눈으로,,형체로 만나볼 수 있는 곳이 있다고 한다. 바로 영국 대영박물관이다. 책 속에 들어있는 루벤스, 벨라스케스의 그림 및 다양한 조각들을 그 곳에서 볼 수 있다고 한다. 정말 설렌다. 책을 통한 상상이 아닌,,,비록 인간이 만든 상상속의 형상이지만 그것들을 실제로 볼 때의 느낌음 상상만 해도 짜릿하다. 그 곳으로 가기전에 많이 보고,,,많이 상상해 보고 가야겠다...^^

「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의 장점이라면 처음 그리스 로마 신화를 접하는 사람에게 부담없이,,,흥미를 가지고 읽을 수 있도록 해 주는 점이고,,,단점이라면 읽으면 읽을수록 책에는 깊이가 있어야 하는데,,,그게 사실 조금 부족하다...잼있으려고 하는 찰나 이야기는 급속도 하상곡선으로 정리되고 마니까...

어찌 그렇게 사람들의 이야기와  비슷할까? 그러면서도 신비롭고, 그들만의 리그가 있는 듯한 느낌의 그 깊은 얘기속이 넘 궁금하다.  좀 더 풍부하고 자세한 내용의 다른 그리스 로마신화를 더 읽어봐야 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르미안 2005-08-27 0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절대 동감.. 영국 대영박물관도 그렇지만, 프랑스 루브르도 좋은 거 같아요.
 
오만과 편견 소담 베스트셀러 월드북 69
제인 오스틴 지음, 정홍택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내가 만난 사람들을 하나하나 떠올리면서 읽었다...

그냥 인간관계가 아닌,,,하늘 아래 내 반쪽이 될 뻔한 사람들을 말이다^^

그냥 그렇게 스쳐지난 간 인연, 달콤했던 기억들, 그리고 연애사의 종지부를 찍은 이별들,,,

그 중에서 정말 몇 번은 내가 가진 오만과 편견으로 좋은 사람을 떠나보낸 적도 있는 것 같다^^;;

제목을 보고,,,첫 장을 넘기는 순간,,,엘리자베스와 다르시씨가 연결될 뻔한 결말이었고,,,작가가 꿈꾸는 백마탄 왕자님이 다르시씨였다는 것도 알았고,,,10대에 이 소설을 읽었으면 좀 더 글에 빠져 읽었으리라...ㅋ

울 엄마가 나한테 늘 하시는 말씀이..." 이~ 헛똑똑"이다...

똑똑한 체 하려고 하지만,,,' ~~ 한 체 하려고 하다.'는 머리를 한 번 굴리는 것,,,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지 않고, 자기에게 유리한 쪽으로 상황을 ' 상상'하는 것이다...그런 일은 대부분 결과가 뻔하지...?!

연인관계에서,,,

똑똑한 체하는 것은 경계해야 할 일인거 같다..

연인이 되기 위해선 서로가 서로에게 진실되게 귀기울여줌이 필요하다...

오만과 편견없이 말이다.

 

** 책을 찍어낼 때,,,출판사가 좀 급했나 보다... 새로 나온진 모르겠지만,,,내가 가지고 있는 책은 띄어쓰기나 오타가 정말 많았다. 그래서 상품 만족도는 별표 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글세대가 본 논어 2
배병삼 지음 / 문학동네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 논어를 다시 읽으면서....그 맛이 또 새로웠다...

배우는 것도 좋지만...스스로 정독과 다독을 통해 얻는 앎의 기쁨이 더 큰 것 같다.

====================================================================================

글을 백번 읽으면 뜻이 저절로 나타난다는 뜻으로, 열심히 학문을 연마하다 보면 뜻하는 바가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讀書百遍意自現) 
 
후한 헌제 때 동우(董遇)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는 유달리 학문하기를 좋아하여 어느 곳을 가든지 항상 책을 곁에 끼고 다니면서(手不釋卷) 공부를 하였다. 그의 이러한 행동은 어느새 헌제의 귀에 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헌제 역시 학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동우의 학자다운 면모에 반하여 그를 황문시랑(黃門侍郞)으로 임명하고 경서를 가르치도록 했다. 
 
동우의 명성이 서서히 알려지면서, 세간에는 그의 밑으로 들어와 제자가 되기를 열망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러나 동우는 제자가 되기를 원한다고 해서 아무나 제자로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그는 항상 이렇게 말했다. 
 
"먼저 책을 백 번 읽어라. 백 번 읽으면 그 의미를 저절로 알게 된다." 

그렇지만 어떤 이는 동우의 말을 이해하면서도 볼멘소리로 했다. 

"책을 백 번이나 읽을 만한 여유는 없습니다." 

그러자 동우는 말했다. 

"세 가지 여분을 갖고 해라." 

"세 가지 여분이 무엇입니까?" 

"세 가지 여분이란 겨울, 밤, 비오는 때를 말한다. 
 
 겨울은 한 해의 여분이고, 
 밤을 한 날의 여분이며, 
 비오는 때는 한 때의 여분이다. 

 그러니 이 여분을 이용하여 학문에 정진하면 된다." 

지금은 비법이니 해법 혹은 왕도 등의 학습 방법론이 개발되어 독자들을 현혹하기조차 한다. 

학문에는 왕도가 없다는 말이 새삼 설득력 있게 들린다. 
 
후에 조조(曺操)의 의심을 받아 한직으로 쫓겨났다. 
 
[출전] '삼국지(三國誌)' 위서(僞書) '왕숙전(王肅傳)'의 주(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