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읽으니 왜 이렇게 새로운 것일까. 어떤 대목에서는 참을 수 없이 눈물이 났다. 직접 흐르는 횟수는 꽤 적었지만 나의 온몸에 슬픔이 흐르고 있다는 것쯤은 알 수 있었다.고등학교 때는 진짜 하루키는 잘난척의 끝!이구나,하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굉장히 가볍게 읽혔고. 이랬던 내가 이번의 책 읽기에서는 모든 문단문단마다 쓸쓸해진다. 대체 나는 하쓰미가 되었다가, 나와사카가 되었다가, 와타나베가 되었다가, 나오코가 되었다가, 미도리가 되었다가 했다. 튿어지는 슬픔을 견디려 하고 있었다.노르웨이의 숲에는 엷은 안개가 끼어 있다. 남은 부분을 읽고 안개 속에서 춤추다 짐짓 진지한 얼굴로 나는 하루키 를 좋아하지 못하겠어, 라고 말해야지. 미-쉘- 마 벨, sont des mots qui vont très bien ensemble-
사회의 시선에 쪼들리는 여성들에게는 그러지 않아도 된다고, 사회의 편견에 사로잡힌 여성들에게는 그러지 말라고 하는. 정말 단비와 같은 책 아닐까. 이미 잘해오고 있었지만 더 주체적으로 섹스하고 더 이기적으로 당신과 사랑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