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인 비트윈 : 경계 위에 선 자
토스카 리 지음, 조영학 옮김 / 허블 / 2022년 1월
평점 :
: 경계 위에 선 자 🚷
토스카 리 저 / 허블 출판사
“이 책의 출간 시기 때문에 사실 걱정도 많았답니다. 진짜 팬데믹을 살고 있는데 누가 팬데믹 소설을 읽고 싶겠어?… 내 디스포티아 이야기들이 다른 디스포티아 소설과 어떻게 다른가 하는 질문도 있었습니다. 예, 대답은 간단합니다. 사실 그건 장르를 초월해 제 이야기 모두에 적용할 수 있죠. 이야기는 희망으로 끝이 나야 합니다.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는 비록 짧은 시간이나마 다른 사람의 삶을 살기 위해서입니다. 안전한 독서를 하면서도 위험을 경험하고 그로써 즐거움과 영감을 얻기 위해서죠.”
서문
프라이온 : 단백질 접힘에 오류를 야기해,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두뇌와 신경조직을 점진적으로 파괴하는 감염체. 인류에게 치명적이다.
🏷
분명 코로나 전에 출간된 디스토피아 소설인데(!)
팬데믹이 주제여서 팩션 느낌이 들었다.
팬데믹과 사이비 종교의 이야기는 분명 거리감이 느껴지면서 장르물로 읽혀야 하는데 코로나 가운데 우리가 마주한 상황에선 너무 “현실적”이 되어버렸다.
극단적 모습을 한 종교부터의 도피를 감행하는 이야기는
보통 주인공(윈터)의 성공적인 탈출로 해피 엔딩을 그리거나 사이비 종교로부터의 비극적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 하지만 <라인 비트윈>에선 잘 연결되지 않는 또 다른 위협이 윈터에게 닥친다. 그렇게 두 위협 사이에서 윈터는 “경계 위에 선 자”가 되어서 생존을 작당하고 그 가운데서 인간성을 유지하려고 발버둥친다.
다행히 안도할 수 있는 것은 작가가 그려내는 이야기 안에는 “낙관” 내지 “희망”이 유지된다는 점에 있다. 디스토피아 소설인데 희망적으로 읽을 수 있어서 밤에 충분히 읽거나 아침에 읽어도 인상을 찌쁘리지는 않아도 된다.
-
소설이 픽션 즉, 허구로 느껴져야 우린 안도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소설만큼은
우리 현실과 소설의 경계가 너무 흐릿해서
자칫 살아있는 공포로도 다가온다.
코로나라는 실제 위험과 사람들의 공포에 찬 목소리가 언론, 종교 등을 통해 여과 없이 드러내는 요즘, 제발 이 모든 것이 차라리 소설이었으면 좋겠다!라는 마음으로 책을 덮었다. 픽션인데 팩션 같으면서 희망이 남아있는 디스토피아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