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왜 잔인해지는가 - 타인을 대상화하는 인간
존 M. 렉터 지음, 양미래 옮김 / 교유서가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포터즈 #도서협찬 #교유서가 #교유당 


“타인을 대상화한다는 것은 

타인을 총체적인 존재로 바라보지 못하고 

그보다 못한 존재로 오해하는 것이다.” 


인간은 왜 잔인해지는가

: 타인을 대상화하는 인간 



영웅의 이야기를 좋아해서 역사를 좋아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누군가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거나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쳤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강한 매력으로 다가왔습니다. 하지만, 역사를 조금씩 더 공부해보니 그 모든 이야기는 폭력과 잔혹함으로 변색되기 시작했습니다. 인간이니깐 어쩔 수 없다고 마음을 달래기도 하지만, 결국 인간의 역사가 폭력의 역사 같아서 절망스러웠고 무서움을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인간의 잔혹함은 그저 아우슈비츠에서 절정을 맞이한 것이 아니라 지금도 경제 위기, 기후 위기, 코로나, 혐오 정치 등의 현상을 통해 더 끔찍하게 재현되고 재생되는 것 같습니다. <인간은 왜 잔인해지는가>에서는 이런 잔혹함이 “대상화” 때문에 일어났다고 말합니다. 그 대상화는 인간을 인간으로 보지 않고 물건 취급을 하면서 오해, 편견으로 쉽게 정리한 채로 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대상화의 정반대에는 마르틴 부버가 말한 “참된 관계”가 있습니다. 마르틴 부버의 <나와 너>에서는 참된 관계는 상대를 물건 취급하면서 “그것”으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으로 상대를 “너”라는 인격체로 대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말합니다. 인간을 물건 취급하는 것이 아닌 인간 그 자체로 귀하게 보는 것, 그 제안을 이 책은 이어받습니다. 


결국 인간은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관계를 쌓고 대할 때 인간성을 유지하고 지킬 수 있지만, 쉽게 사람들을 정의하고 구분하면서 효용 가치를 따지게 된다면 잔혹성은 언제든지 재현될 것이라는 것이 이 책의 경고입니다. 


우리가 서로를 “너”라는 한 인간이자 인격체로 바라보며 모험하고 사랑하는 것이 혐오 표현이 정당화되고 어쩔 수 없다고 당당해하는 이들을 이길 수 있는 방법이지 않을까요. 


인간은 잔혹할 수도 

사랑할 수도 있다고 

책은 갈림길을 보여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