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흑 동화
오츠이치 지음, 김수현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동화가 사실 처음부터 '아이를 위한 이야기' 는 아니었다고 들었다. 우리가 알던 신데렐라나 백설공주 등과 같은 아름다운 이야기는 후에 각색되어진 것이고 원작은 사실 대부분 아이들이 읽기에는 잔인한 이야기들이었다고. 나도 오래전 조금 읽어본 기억이 있는데, 모두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대부분은 정말 잔인하거나 비윤리적인 이야기가 많았었다. 그래서 그런가. 이 책의 저자는 이 책의 내용이 딱히 동화스럽거나 아이들이 읽을만한 내용의 책이 아닌데도 떡 하니 책의 제목을 '동화' 라고 지었다. 그것도 그냥 동화가 아닌 '암흑동화'.
 
단편공포소설 모음집인 <ZOO> 를 읽고 그 특이한 작가의 정신세계에 빠지게 되어 작가 이름만 보고 선택한 책인데 역시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작가의 첫 장편이라는 말에 끌리기도 했는데, 역시나 그 분량만큼 하고픈 말도 맘껏 담은 것 같고, 단편보다 좀 더 복잡하고 다양한 표현으로 이야기를 해나가고 있다. 다소 어긋난 시간순과 다중인물의 시점이 번갈아 진행되는 복잡한 구성과 원체 특이한 느낌을 담은 표현력이라 마지막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고 읽기는 했으나 이해하기 힘든 정도는 아니며, 오히려 몰입되어 읽을 수 있어서 더 좋았다.
 
이 책 제목을 보니 얼마전 '아역배우' 라는 이름과 이미지 때문에 아역배우에서 진정한 '배우' 로 거듭나기가 매우 어렵다는 뉴스기사를 읽은 생각이났다. 배우면 다 같은 배우지, 나이가 많은 배우들은 '성인배우' 라고 부르지 않으면서 단지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 하나로 '아역배우' 라는 작은 틀에 매여 빠져나오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생각해본다면 우리도 '동화' 라는 작은 틀을 만들어 두고 책 선택의 폭을 조금 줄이게 된 것은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든다. 글쎄, 이 책의 저자 오츠이치가 이렇게 말하는것 같다.
어때? 이 책도 아이들이 읽는 동화에 넣어둘꺼야? 하고...

 
비디오 속 그녀는 아우라 같은 빛을 발하고 있었다. 얼굴은 나와 같지만 그곳에 비치고 있는 것은 별개의 인물이었다. 나는 암흑 속에 갇힌 기분이 들었다. - p.73
 
하지만 대부분의 꿈은 눈을 뜸과 동시에 내용을 잊어버렸다. 기억이 되살아나면 마찬가지로 지금의 자신도 잊어 가는 건가. 지금 이렇게 고뇌하고 있는 자신이 있었다는 의식도 흐려져 가는 건가. - p.280
 
나는 설령 기억이 돌아와도 절대 지금의 자신을 잊고 싶지 않다. 사소한 일로 상처 입고 불안해했던 것을 언제까지나 기억하고 싶다. - p.283
 
이 책 속에는 기억, 꿈, 눈, 암흑 이런 단어들이 많이 나온다. 인간의 말을 하는 까마귀와 장님소녀와의 우정, 우산끝에 찔려 한쪽 눈을 잃고 기억까지 잃어버린 소녀, 그리고 눈을 이식받게 되면서 보이게 되는 어떤 소년의 추억 등
읽으면서 역시나 특이한 작가, 나를 실망시키지 않는 작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 처음부분을 읽을때부터 도대체 극장가에서 살았다고 영화를 보며 까마귀가 인간의 말을 독학한다는 생각을 몇 몇이나 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점차 복잡해져가는 이야기의 구조. 계속해서 새로운 사람들이 나오고 저마다의 기억을 이야기 한다.
 
나도 전에 내 기억에 대해 생각을 해 본적이 있다. 나 자신의 어떤 감정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나 자신이 죽는다면 그 이후의 세계는 어떻게 되는걸까 하는... 그때는 나 자신이 죽었으니 깜깜한 암흑천지고 생각이란 것 자체가 없겠지만, 내가 나 자신에 대해 생각하듯 또 누군가도 계속 '나 자신' 이 주체가 되어 생각을 할텐데 그 때의 '나' 는 누구인지. 내가 죽어도 세상은 계속 존재할텐데 그 이후, '나' 라고 생각하는 그 누군가는 나의 환생일까? 사실 이건 인간이라면 누구나 생각해보는 사후세계에 대한 궁금증의 연장선이고 '나' 를 생각하는 다른 '나' 가 '나' 일리는 없는건 당연하겠지만, '나' 라는 생각의 주체로 계속 세상을 보고 있다는 다른 사람들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 '나' 가 지금의 나를 기억하지 못하는 '나' 일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가 없다.
뭔가 대단히 복잡한가?...; 설명을 제대로 한건지 모르겠다.
 
이 책속에서도 '나미' 라는 소녀는 계속 생각에 생각을 거듭한다. 기억을 잃고, 눈을 이식받고, 그 눈의 원래 주인의 기억을 공유하게 된 나는 과연 누구인지. 기억을 잃기 전 '나미' 는 타인처럼 느껴지지만, 결코 전의 '나미' 에서도 완전히 벗어날 수 없고 지금의 새로운 '나미' 도 잊고 싶지 않아하는 이 소녀가 왠지 나와 비슷한 느낌이 들어 반가웠다.
 
인간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 동물' 이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조금 다르게 표현해도 될 것 같다. 인간은 추억을 공유하며 살아가는 동물이라고, 언젠가는 죽어 없어지지만 타인이 나를 생각하고 기억하는 한, 나는 그 속에서 계속 함께 살아가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강하게 확신시켜 준다. 책 속 주인공인 '나미' 는 기억을 잃고 불안해하지만, 결국에는 그렇게 불안불안한 자신의 모습도 인정하게 된다. 그건 새로운 기억과 추억을 잃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다.
 
새로 들어온 왼쪽 눈은 꿈이 들어 있는 작은 상자가 아닐까 생각했다. 그 상자는 자물쇠가 채워져 있어 평소에는 평범한 눈처럼 기능하지만, 거기에 열쇠가 끼워지면 꿈이 흘러나온다. 그 열쇠가 바로 그네이고 레일인 것이다. - p.59
 
방문자. 그 말이 가슴속 깊이 가라앉았다. 내가 스스로를 어딘가에서 무슨 착오로 이 세상에 오고 만 여행자처럼 여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틀림없이 '나미' 지만 '나미' 가 아닌 것 같았다. 그렇다면 '나'는 무엇일까. 어디서 온 걸까. 다시 말해 가끔씩 그런 생각을 하는 순간이 있었다. 어떤 우연의 작용으로 이 세계에 도착해 이 가에데초라는 곳에 있다. 나는 방문자. - p.162
 
범인을 찾아야만 한다. 그리고 가르쳐 주고 싶었다. 범인 빼앗은 인생이 얼마나 많은 가치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 p.168
 
과거는 흘러간다. 죽어 사라진다. 마을에서 길이나 선로가 사라져 가듯, 인간도 없어진다. 그리고 그때까지와는 조금 다른 세상이 되어 간다. 하지만 그녀는 시간이 멈춰 버린 것처럼 지금은 없는 사람들을 계속 생각하고 있었다. - p.253
 
스미다가 이야기해 준 것같이 하는 일 없이 보내는 시기라는 것은 참 멋지다고 생각했다. 그저 여름 햇살을 받으며 흐르는 시간을 느낀다는 것은 참 좋은 일이다. - p.272
 
작가는 우리에게 말하고 싶은 것이 아닐까? 세상은 암흑천지고 우리는 잠깐 살다가는 방문자일뿐이지만, 그래도 그 삶 하나하나는 저마다 아름답고 소중한 것이라고...
<끔찍한 공포의 세계를 특이하고 아름답고 몽환적인 표현으로 보여주는 작가 오츠이치에게 더 깊이 빠진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