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얼굴 빨개지는 아이
장 자끄 상뻬 글 그림, 김호영 옮김 / 열린책들 / 199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이 책을 알게 된 건 1~2년쯤 전의 일이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친구와 마지막으로 함께 교보문고에 갔을때 그 친구는 이 작가의 책을 모으는 중이라며
이 책을 샀었다.
그러고보니 나도 이 작가의 책은 두번 정도 본 적이 있다.
<꼬마 니콜라> 와 <좀머씨 이야기> 로 말이다.
좀머씨...는 조금 슬픈 이야기라 기억되고 있지만
니콜라는 아직도 내가 유쾌하게 생각하는 이야기로 기억하고 있어서 반가웠다.
장 자끄 상빼의 그림은 간결하고 아주 재미있다. 그저 무심히 그어놓은 스케치같지만 왠지 따뜻한 느낌이다.
온통 그림과 고작 몇 줄의 이야기.. 단순한 이야기에서 많은 감동을 주는 멋진 작가같다.
마르슬랭은 자신의 이름을 좋아하고 운동을 좋아하며, 시 읽기를 잘하는
그래서 별로 불행하지는 않지만 약간의 문제를 안고 있는 소년이다.
바로 얼굴이 시도때도 없이 빨개지는 일이다.
소년은 그저 자신의 얼굴이 왜, 어째서 빨개지는 궁금해할 뿐 그저 자신의 삶에 만족해하며 살아간다.
그러다 소년은 다른 소년을 만나게 된다.
바이올린 연주를 하는 소년 르네이다.
르네 또한 한가지 문제가 있었는데 바로 시도때도 없이 나오는 재채기였다.
그러나 르네 역시 자신의 삶이 불행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이 점이 왠지 중요해 보였다.
저마다의 문제점이 있었지만 그들은 딱히 불행하지 않았으며, 다만 서로를 알게 됨으로써 좀 더 행복해했다는거..
나는 항상 지금 내가 불행하다고 여기고 나 또한 자주 빨개지는 얼굴로 고민이 많았는데
이들은 주어진 삶에도 만족했지만 좀 더 행복해지는 것도 더 행복하다는 사실 자체로 즐겼다.
이 책은 서로의 컴플렉스를 극복해내고 우정을 만들어가는 두 친구의 이야기라고 한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사실 이 둘은 자신의 단점들을 서로 컴플렉스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마르슬랭은 한밤중 르네의 기침소리를 듣고 친구의 목소리를 들었다고 행복해했으며
르네 또한 마르슬랭의 빨개진 얼굴을 의식하기보단 가끔식 멋진 색깔의 얼굴로 돌아온다고 생각했다.
오히려 마르슬랭은 자신도 감기에 걸려 르네와 함께 재채기를 할 수 있단 사실에 기뻐했고
르네 또한 한여름 더위에 얼굴이 빨갛게 익을수록 친구와 같아졌다고 좋아했던 것이다.
중간에 작가가 개입하여 둘의 이별을 현실의 그 수많은 이별 중에 하나와 같지 않게 만들어줘서 참 기뻤다.
이 책을 알려준 내 친구는 지금 먼 호주에 공부하러 잠시 내 곁을 떠나있다.
르네와 마르슬랭처럼 지금 잠시 떨어져있다고 해도 곧 다시 예전처럼 즐겁게 함께할 것을 나는 믿는다.
부족하고 모자란 점이 많은 나지만 그 부족한 면을 부끄러워 하지 않고 오히려 채워주는 내 소중한 친구.
책을 보고 르네와 마르슬랭이 잠시 부러워졌지만 생각해보니 나에게도 그런 친구가 있었다.
살아오면서 가장 소중하고 중요한 큰 선물인 우정을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어서 책을 읽고 나서 참 기분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