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물에서 하늘 보기]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우물에서 하늘 보기 - 황현산의 시 이야기
황현산 지음 / 삼인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한국 사회를 보면 사는 건지, 안 사는 건지 모를 만큼 절망적이다. 그러나 우리는 늘 다른 삶을 얘기할 것이다. 좋은 시란, 이 귀찮은 삶 속에서, 이 막막한 삶 속에서 (희망의) 싹을 발견해 절망의 세계, 현실의 귀찮음과 저 아름답고, 거룩하고 완결된 어떤 세계와 연결해주는 것이다.“

프레시안 <우물에서 하늘보기 북콘서트 현장> “시를 읽으며 더 게으르게 살자"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2103&ref=nav_mynews

 

 현실이 팍팍할수록 문학은 늘 철부지 막내처럼 여겨졌다. 문학 중에서도 시는 훨씬 사치스러운 무엇같다. 자기계발서나 현실을 담은 에세이는 당장에 위안을 주지만 시는 짧은 글을 곱씹어 생각해야 한다. 끝까지 의미를 파악하지 못할 수도 있다. 눈앞에 닥친 문제를 하나씩 젖혀가듯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이 없는 문학은 해결되지 않은 고민처럼 찜찜함을 남긴다.

 

 

 

 황현산은 살아 낼 건지 말 건지를 결정해야 하는 절망적 현실에서 시가 거룩하고 완결된 어떤 세계와 연결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여전히 추상적이다. 대중과 시를 더 가깝게 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기고를 시작했을 것 같은데 이 책의 제목은 너무도 '시적'이다. 평론을 좋아하지만 시를 평론한다는 것 자체가 극도의 심장과 극도의 머리가 만나는 느낌이라 혼란스러웠다.

 

우물에서 하늘보기......’

 

 시에 관한 한 이 책을 읽기 전에 그의 와 나의 사이의 비대칭성을 인정하고 견주어 볼 필요가 있었다. 적어도 지금의 나의   ‘무언지 모를 극단적인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 유미적이거나 퇴폐적인 예술이 아니더라도,예술을 예술되게 하는 기본 요소에서 사치는 큰 몫을 한다. (중략) 미학주의가 사실주의나 현실주의의 대척점에 있다는 주장을 거부하고 싶어진다. (중략) 예술은 자주 그 무용한 사치와 그 과격한 사보타주로 현실의 억압을 비껴간다. (중략) 특히 시인의 공들인 작업은 저 보이지 않는 삶을 이 보이는 삶 속으로 끌어당긴다. " - <02. 사치와 사보타주 중에서>

   

 저자는 작품의 창작 배경, 해석을 돕는 다른 작품과 역사, 철학, 관련된 당신의 이야기를 끌어오면서 거의 모든 순간 그것이 향유되고 있는 오늘을 잊지 않는다. 고전과 현대, 국내와 국외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종과 횡으로 아우르며 세월호의 비통함, 민주화 투쟁과 고통의 현대사를 외면하지 않는다. 당신이 중심에 있는 문학계의 등단 시스템에 관하여도 두 편의 시를 통해 자연스레 풀어낸다. 지금, 여기서 우리가 듣고, 읽고, 공부하는 그 노래들을 어떤 식으로든 이어받은 자로서 사명감과 죄책감을 느낄 수 있었다.

 

 나는 시가 여전히 막막하고 팍팍하다고 투정부리고 싶은 삶에서 거룩하고 완결된 삶을 내다보는 것이라고 여기지 않는다. 시가 책장에서 모든 재미있고 가벼운 글들을 다 읽어낸 뒤에야 가장 마지막에 손에 쥐게 될 장르라는 것에는 어떤 확신마저 있다. ‘우물에서 하늘을 본다’...마치 시인이 시를 쓴다는 것이 꼭 그런 것이라는 걸 책을 덮을 즈음에야 어렴풋이나마 생각해 보게 되었다. 내가 있는 곳이 우물 속인 줄 알아야 하늘을 올려다 볼 수 있을텐데... 시에 대한 감정적이고 인간적인 동조가 있기 위해서 다시 한 가지 과제와 삶의 목적이라 이름 붙여도 좋을 만나게 된다. 세상에 대한 이해. 나와 우리, 일상과 사회에 대한 예민한 촉수를 세워 감지하고 느끼는 것. 우물이 우물인 줄 아는 것. 그리하여 이따금씩 하늘을 넘어 볼 줄 아는 것, 그것 말이다. 

 

왜 시를 읽어야 하는가에 대해 나 역시 설득당하고 싶은 마음을 담아 젊은 작가의 변을 붙임한다.

접힌 부분 펼치기 ▼

 

마 전 강연에서 이런 질문을 받았다. “세월호 사건으로 세상이 이렇게 뒤숭숭한데, 인문학이란 이런 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실로 난감한 질문이었지만, 실은 나 또한 스스로에게 가장 혹독하게 묻고 있는 바로 그 화두였다. 세상이 이토록 뒤숭숭한데, 공부를 한다는 것은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철학과 역사와 문학을 공부한다고 해서 세상이 나아질 수 있을까.

 

  하지만 뒤집어 생각해보면 바로 그렇게 우리가 살고 있는 공동체가 극도의 위기 상황에 빠졌을 때야말로 가장 인문학의 도움이 필요한 시간이고, 이 세상을 바꿀 수 있는 타인의 생각에 귀 기울여야만 할 시간이었다. 세상이 힘드니 공부가 필요 없는 것이 아니라, 세상이 어렵기에 공부가 더욱 절실한 때였다.

 

  공부가 쓸모없는 것이 아니라 공부를 어떻게 인생과 세계와 일상에 적용해야 할지 몰라 난감해하는 우리 자신이 문제였다. 나는 그분께 이렇게 대답하고 싶었다. 모두가 시름에 빠져 고통의 끝이 보이지 않는 바로 이 순간이야말로 철학이 필요한 순간이라고. 우리가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 없는 순간, 지금까지 열심히 살아온 그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되어버리는 것 같은 바로 이 순간이야말로, 우리가 지금까지 갈고 닦아온 모든 지혜를 동원해 불의와 싸워야 할 진정한 인문학의 시간이라고.

시사인 책꽂이’ <정여울의 독서공감> “그가 물었다, 잘 지내느냐고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43

 

펼친 부분 접기 ▲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