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들어진 신 -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
리처드 도킨스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07년 7월
평점 :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을 읽었습니다. 저희 집은 제가 어릴적부터 불교를 믿었습니다. 할머니, 어머니로 이어지는 불교고리의 정점에 제가 있었습니다. 자연스럽게 불교란 종교에 익숙해졌습니다. 그렇다고 부모님처럼 신자는 아닙니다. 단지 아늑한 절의 분위기가 좋아 그리고 부처님 보다 경전의 가르침이 좋아 가끔씩 부모님따라 다닌게 전부입니다. 그리고 법정 스님을 통한 맑은 정신의 흠모가 인연의 전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전 불교에 대해 그리고 종교에 대해서는 문외한이나 매한가지 입니다. 그러나 일신교에 대한 약간의 거부감이 있습니다. 일신교리를 믿으시는 분들에게는 얼토당토 않은 이야기 일지도 모르지만, 다양성이 존중되지 않는다는 것에 거부감이 있습니다.
신은 망상이다. 그리고 앞으로 드러나겠지만, 그것은 유해한 망상이다. 증거보다는 사적인 계시를 통해 지역별로 다양한 전통들이 수립되어 있으므로, 신 가설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는 사실도 별로 놀라운 일은 아니다. 종교사가들은 원시 부족의 애니미즘에서 그리스, 로마, 북구의 신들 같은 다신교를 거쳐 유대교와 그 파생 종교인 기독교와 이슬람교 같은 일신교로 진행되는 흐름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리처드 도킨스는 무신론의 극단에 있습니다. 신의 존재 자체의 부정에서 출발해 종교까지 망상이라 치부합니다. 철저히 종교의 탄생부터, 신의 존재에 대해 과학적으로 분석합니다. 신의 영역 자체를 부정하며, 과학적 사고로 비 이성적인 종교계를 비판합니다. 아니 신이란 존재하지 않음이 명백하다 증명합니다. 그리고 종교가 낳은 수많은 폐해들을 낱낱이 밝힙니다. 읽다보면 그 까칠함의 극단에 예리한 이성적 논리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기도하다'라는 동사에 대한 앰브로즈 비어스의 재치만점의 정의를 떠올려보자. "지극히 부당하게 한 명의 청원자를 위해서 우주의 법칙들을 무효화하라고 요구하는 것"
<다빈치 코드>와 복음서들의 유일한 차이점은 복음서들이 오래된 소설인 반면, <다빈치 코드>는 현대 소설이라는 것뿐이다.
그러나 제겐 읽기 쉽지 않은 책이었습니다. 종교에 비판하는 그 근거 자료들에 대해서 제가 알지 못함이 그 첫번째 이유입니다. 워낙 관심이 없고, 종교에 대해 거부감이 조금 있었던지라 알고자 하는 욕구가 전혀 일지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비판에 쉽게 공감 할 수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종교보다 종교를 믿는 자들의 잘못된 해석, 그리고 편협한 사고, 극단적인 결정에 의해 부패되어 가는 작금의 종교계 그리고, 일련의 역사적 사실들 속에서 종교, 종교 행동의 치부는 알고 있습니다.
하우저와 싱어의 결론은 무신론자와 종교인의 판단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선하거나 악하기 위해서 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나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지닌 견해와 들어맞는 듯하다.
저자는 다윈의 진화론에 바탕을 둔 과학적 논증으로 종교의 자기 모순적 논리, 그리고 종교 행위의 파괴성을 내쳐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과학적 틈새를 파고든 신학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무신론의 극단에서 단지 신의 부정만을 논하지는 않습니다. 종교인과 무신론자, 그리고 불가지론자의 판단에 있어서 차이는 없다고 단언합니다. 종교를 넘어 인간 본연의 가치를 일깨우고자 합니다.
책에서의 분류대로 하자면 전 무신론자도, 종교를 옹호하는 사람도 아닙니다. 불가지론자가 아마 타당 할 듯합니다. 신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다가 제 생각의 전부입니다. 도킨스는 나같은 불가지론자나 나약한 무신론자 마져 비판합니다.
지금의 전 종교에 대해 주의 사람들의 종교적 믿음에 대해 뭐라 하진 않습니다. 다만 제게 권유하는건 참지 못합니다. 제가 납득이 되지 않는다면 특정 종교 특히나 일신교를 믿을 생각은 없습니다. 불교는 종교보다 하나의 삶의 가르침 즉 윤리 체계나 인생 철학이라 생각하기에 경전, 부처님 말씀은 조금씩 새기려 합니다. 하지만 부처님께 내일의 안녕과 미래를 짐지우지는 않습니다.
읽으며 폰노이만, 앨런 튜링, 동성애자란 혐의로 유죄 선고를 받고 자살했다는 대목에서 가슴이 아려옵니다. 편을 나누지 않고 공생할 수 있는 길은 진정 없는 것일까요? 읽으면서, 그리고 책을 덮고 있는 지금 양극단의 첨예한 대립이 가슴을 아려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