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경제의 법칙
이몬 버틀러 지음, 김명철 옮김 / 시아출판사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이몬 버틀러의 <시장경제의 법칙>(시아, 2009)는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에 대한 예찬으로 가득하다. 저자는 영국의 애덤 스미스 연구소 소장이다. 이 책은 시종일관 시장경제가 왜 최상의 경제 시스템인지 입증한다.

1장에서 저자는 시장을 "놀라운 세계"라 표현한다. 그는 중국 황허 강변의 란저우에 위치한 시장 풍경 묘사로 이 놀라운 세계로 독자들을 초대하는데 이 대목을 읽다보면 두 가지를 느끼게 된다. 하나는 역시 저자가 노련하게 독자를 유인해 나간다는 것, 다른 하나는 이 양반의 경제학이란 정치경제학에서 '정치'를 괄호 안에 넣은, 상당히 편향된 경제학이라는 것. 바느질을 잘하는 중국인 소녀와 바느질을 못하는 영국인 경제학자가 시장에서 행복하게 만나 경제학자는 바지를 수선해 좋고 소녀는 품삯을 받을 수 있어 좋다는 이 시장예찬론은 이 책의 장르를 수필이 아닌가 착각시킬 만큼 유려한 문체로 쓰여졌다. 문제는 이 글의 장르가 수필은 아니라는 것. 제목이 <시장경제의 법칙>인 만큼 독자는 정신을 차리고 이 법칙이 합리적인가를 따져 물어야 한다.

저자가 괄호 안에 집어 넣은 '정치'를 다시 꺼내어 '경제학' 앞에 두는 것은, 이 책을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방법이다. 물론 '정치'에는 '국제관계'와 '역사'의 함수가 개입되어 있다. 란저우의 소녀는 과연 바느질을 잘하도록 타고난 것일까. 서유럽이나 북유럽에서 이 소녀가 똑같은 재능을 갖고 태어났다면 이 소녀는 시장바닥에 있지 않고 일단 학교에서 충실히 교육을 받고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보면 시장예찬론은 '지구는 평평하다' 따위의 진공 상태의 경제학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저자의 말대로 '전문화'와 '교환'이 모두에게 막대한 이익을 불러 온다는 것은 개념상 그럴 듯하다. 그러나 현실적인 조건을 살펴보면 이 말은 타당성을 잃는다. 바느질 전문가는 늘 국제 협상 전문가보다 덜 부유할 것이고, 둘 사이의 교환은 늘 불공평할 것이다. 선진국과 후진국의 관계도 그러하다. 제3세계 국가들이 원자재만을 팔기를 언제 바랬던가. 그건 제국주의 시절에 배를 불린 지금의 1세계 국가들이 강요한 것이나 다름없다. 

저자는 3장에서 '가격'에 대해 많은 설명을 한다. 이 역시 시장예찬론의 방식 그대로이다. '시장의 실패'에 대해서는 소상히 언급하지 않는다. 가격이야말로 실시간 메시지 전달 시스템인 것은 맞다. 그런데 그것이 정의로운가 하는 문제는 독립적으로 남는다. 가령 한국의 부동산 시세는 실시간 메시지 전달 시스템이다. 그런데 그것의 발신자와 송신자는 누구인가? 그 메시지가 전달하는 바가 무엇인가? 더 나아가는 이 시스템은 합리적이며 위험한 요소는 없는가? 이런 질문에 대해서 저자는 별다른 논지를 펴고 있지 않다. 이 점이 아쉽다. 

나머지 내용은 더 언급할 필요도 없이 아주 재미있는 예를 들어가며 시장을 예찬하는 데 바쳐진다. 예컨대 이 책에는 '투기꾼'조차도 사회에 기여를 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전체적으로 이 책은 '시장경제'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는 중고생과 '시장경제'에 대한 교양을 얻고 싶어하는 청장년층의 흥미로운 입문서로 적당하다. 중요한 건 이 책만 읽고서 독서를 멈춰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현재의 시장은 저자의 말마따나 전지구적인 규모의 거래가 실시되고 있고 수없이 많은 권력들이 게임을 벌이고 있는 싸움터이기 때문에 이 책에서 거론되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한 분석과 통찰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