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가 여행을 떠날 때
국토 횡단 자동차 여행을 시작한 지 3주째가 된 2000년의 어느 소름 끼치게 습한 8월 저녁, 나는 사우스다코타 주 래피드 시티의 전화박스에 발을 들여놓았다. 누구한테 전화했는지는 사실 별로 중요하지 않다. 아무도 전화를 받지 않았다. 그보다, 재빨리 뒤를 돌아본 나는 내 또래의 건장한 젊은 남자가 전화박스에 몸을 기대어 접이식 문을 막고 있는 걸 알았다. 조금 떨어진 곳에서 실실대는 그의 친구들 표정도 나를 얼어붙게 했다. 나는 유리문을 밀어 열려고 해 본 뒤 마치 그 짖궂은 장난에 동참하는 것처럼 간신히 억지웃음을 띠고 말했다. “와, 재밌다. 근데 나 나갈래.” 혼란과후회, 다시는 돌아가지 못할 갈림길을 지나와 버렸나 싶은 공포로 다리가 후들거리는 것을 들키고 싶지 않아서.
영화 <와일드> 스틸컷 (네이버 DB)
셰릴 스트레이드Cheryl Strayed는 퍼시픽 크레스트 트레일을 혼자 종단한 경험을 기록한 《와일드Wild》에서, 내가 전화박스 안에서 겪은 순간들을 전문가의 필력으로 그려 낸다.
머릿속에서 울려 퍼지는 거대한 쨍그랑 소리 때문에 내 입에서 나오는 말도 들리지 않을 지경이었다. 어쩌면 내 전체 (여행) 목적지는 여기였을지도 모른다는 깨달음. 내가 얼마나 거칠거나 강하거나 용감했든, 혼자 지내는 데 얼마나 익숙해졌든 그건 중요하지 않았다. 그동안 내가 운이 좋았고 지금 그 운이 다했다면, 그 이전의 모든 일은 존재하지도 않았던 것과 같았다. 이 하루저녁이 그 모든 용감한 나날을 무로 돌릴 터였다.
잠시 후 자기 친구들이 다가오자 남자는 기대고 있던 문에서 몸을 뗐고, 무리는 전화박스를 쾅쾅 치고는 큰 소리로 웃고 소리를지르며 위세 좋게 걸어갔다. 뭐라고 하는지는 들리지 않았다. 귓속에서 울리는 따르릉 소리가 모든 자음과 모음, 모든 억양을 집어삼켰기 때문이다. 문짝이 열려 덜렁거리는 전화박스 안에서, 나는 목석처럼 뻣뻣이 굳은 채 혼자 남아 있었다. 남자들은 희미한 신기루처럼 느껴졌고, 방금 겪은 일이 실제로 일어났는지 의아했다. 아직 밤도 아니고 가로등도 많은 데니스 식당 주차장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다니. 불의의 피습이라는 받아들이기 힘든 사실과 일상적인 배경 사이의 절충은 여자로 살아가면서, 그리고 여자로서 길에 오르면서 겪어야 하는 수많은 불협화음들 중 하나다.
(...)
혼자서 무엇을 발견한다고 했을 때, 남자들은 그것을 가능케 하는 자유와 확실한 신화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광활한 영토, 인류의 기원, 또는 자아를 발견할 수 있다. 우리 사회가 젊은 남자에게 통과의례로 나침반과 지도를 건넬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자한테는 어떨까? 여자들도 자유를 요구한다. 우리도 고독을 누리고, 동굴에 틀어박히고, 날개를 활짝 펼치고, 그 어떤 프로그램이나 의제의 가드레일 없이 자연과 교감하며 전인미답의 영토를 밟고 싶다.
(...)
그로부터 몇 년 뒤 또 다른 끔찍하게 더운 어느 8월 저녁. 나는 내 1995년형 해치백에 물, 갈아입을 옷, 칫솔같이 꼭 필요한 것들만 싣고 달리고 있다. 엔진은 다음 2,500킬로미터까지 작동하거나 그러지 못할 수도 있다. 나는 10번 고속도로를 여유롭게 달린다. 이 길을 따라 로스앤젤레스에서 내 가장 오랜 친구와 아직 만나지 못한 대자代子가 사는 휴스턴까지 갈 것이다. 나는 밤새 운전을 한다. 이 계획은 비밀이다. 내가 어디쯤 가고 있는지, 목적지가 어디인지, 남서부를 가로질러 가겠다는 내 계획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애리조나 사막의 광활함은 어둠 속에서도 나를 압도한다. 내 존재가 마치 여기 있으면서 안전한 투명인간이 된 것처럼 느껴진다.
책임감과 일상적인 법칙에서 벗어난 채 거인이 된 기분이다. 나는 코로나도 국유림에 다가가고 있다. 표지판에 따르면 전방에 야영지와 모텔이 있을 것이다. 둘 다 포기하고 해치백 지붕을연다. 전조등을 켜고 곰의 흔적을 살핀 뒤 범퍼 가장자리에 베개를 받치고 머리를 기댄 채 저 멀리서 이따금 지나가는 화물차의 윙윙거리는 소음에 귀를 기울인다. 왠지 낭만에 젖어 담배를 피워 문다. 그대로 깊은 잠에 곤두박질친 나는 샌타카탈리나산맥의 산마루에 내리쬐는 태양의 열기와 오렌지색 불빛에 깨어난다.
(...)
앞에 한 이야기는 허구다. 나는 여행을 떠나기 위한 배짱쯤은 얼마든지 낼 수 있지만, 경고와 여행 준비와 독한 아드레날린이 내 평정을 재빨리 흔들어 놓는다. 내 마음대로 차를 몰고 세 주를 가로지른다는 이 단순한 서사를 상상할 때면 각 단계마다 어쩔 수 없이 출구를 향해 기어를 저속으로 바꾼다. 잠재적인 공격자를 상상하고, 그에게 저항하는 내 모습을 상상한다. 밤새 차를 몰고 가는 나를 멈춰 세우는 고속도로 순찰 경관, 야간 근무 중인 견인차 기사, 차 옆에 누워 별자리를 찾고 있는 나를 넘보는 연쇄 강간범, 그랜드캐니언으로 혼자 하이킹 중인 내게 다가오는 만취한 10대 남자아이들. 사방에서 출몰하는 폭력의 유령.
유토피아는 쉽게 얻어지지 않는다. 10대 때 가출한 전력을 밝힌 작가 바네사 바셀카Vanessa Vaselka는 여성 여행의 뉘앙스에 관해, 여성으로서 여행길에 오른다는 것의 위험과 대중문화에서 여행하는 여성 주인공의 부재를 정교하게 연결하는 긴 글을 썼다. 자유롭게 움직이고 싶은 욕구를 채우려면 우리는 이제껏 여성들이 뭔가를 얻어 내는 데 이용해 온 유일한 방식, 공간을 차지하기 위한 저항을 펼쳐야 한다. 그것은 쉽지 않지만 유일한 방법이다. 역사 속에서 내내, 표적이 된 사람들은 저항을 통해서만 권력을 손에 넣었다. 우리의 한 표, 투표제도에서 우리가 차지한 자리, 이제는 너무나 일반적이어서 자주 잊어버리는 것들은 원래 백인에게만 허용되었다. 우리, 나머지 사람들은 줄을 지어 차례를 기다리려고만 해도 믿기 어려울 만큼 신체적 위험을 감수해야 했다.
따라서 우리를 대담하게 하는 동시에 지키는 방법은 열린 공간에 혼자 있는 우리의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우리 여성의 이상향인 샹그릴라를 이 땅에 지으려면, 우리는 반드시 그 여행길에 올라야 한다. 거기서 반갑지 않은 콘도르들을 몰아내려면, 우리의 소유권을 주장해야 한다. 1967년 보스턴마라톤 주최 측이 감히 그 대회에 참가하려고 한 (최초의 여성) 캐스린 스위처Kathrine Switzer를 공격하면서 내뱉은 ‘여자가 낄 자리’라는 말의 불합리함은 오로지 우리 눈에 보이는 그녀의 존재로만 불식되고 재정립될 수 있다.
(...)
리아 페이-베르퀴스트Ria Fay-Berquist(작가・영화제작자・교육자)
리아 페이-베르퀴스트는 디스코 시대와 샌프란시스코의 에이즈 충격 사이 잠깐 지나간 문화적 반란기에 태어났다. 현재 석사 학위를 준비하면서 하버드교육대학원 어반 스콜라 과정에서 소년원의 모범적인 아이들을 위한 교육적 접근법을 연구하고 있다. 논픽션 작품이 키스 레이먼Kiese Laymon에게 뽑혀 〈고커Gawker〉의 일요일 확장판에 실리기도 했다. 트위터 계정 @fayB에서 대화를 환영하지만 광견병자들은 차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