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스 아이처럼 - 아이, 엄마, 가족이 모두 행복한 프랑스식 육아
파멜라 드러커맨 지음, 이주혜 옮김 / 북하이브(타임북스)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큰 기대는 없이 읽기 시작했고, 그저 아이를 키우면서 유용한 어떤 팁이나 통찰을 얻을 수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주문했다. 처음 이 책이 여기저기 블로그에 포스팅된 것을 봤을 땐 제목이나 표지가 썩 맘에 들지는 않았다. 프랑스 아이처럼 우아하게 키우는 방법이라도 알려준단 말인가, 겉멋 든 엄마들을 타겟으로 한 책인가 하며 조금은 삐딱한 시선으로 바라봤었지(웃고 있는 표정이 담긴 표지도 그런 이미지에 한몫 했다는).
그래도 책에 대한 호평들을 몇 번 접하다보니 내용이 궁금해져서 알라딘에서 목차를 열어봤고, 장바구니에 담아두고는 몇 차례 살까말까 하며 책 정보를 훑어보다가 결국 주문.
프랑스의 육아 시스템에 관해서는 꽤 오래 전에 《엄마는 미친 짓이다》라는 책을 통해 접한 바가 있어서 아주 새롭지는 않았다.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에서도 많이 다루고 있으니까. 그보다 프랑스 부모들의 가정교육이나 크레쉬(프랑스의 어린이집)에서의 교육 방식에서 얻을 만한 교훈이 많았다.
앞부분을 읽으면서는 좀 혼란스러웠다. 얼마 전에 읽은 책에서는 아기와의 애착을 매우 강조하고 있었는데, 아기가 울면 빛의 속도로 반응해주어야 한다는 그 책의 관점과 프랑스 양육의 방식이 대조를 이루었기 때문. 물론 프랑스 부모들도 아기들에게 예의를 갖추어 세심하게 대한다는 점은 비슷하지만, 아기가 울 때 무조건적으로 반응하기보다 '잠깐 멈추어' 아이의 반응을 관찰해보라는 것이다. 일단 멈추어 아이가 무엇을 요구하는지를 살펴보고, 당장 반응해줄 만한 것이 아니라면 아이 스스로 무언가를 시도하거나 해결해보도록 기다려주라는 것.
우리 아기는 지금 만 9개월 즈음 되었는데, 이런 팁은 꽤 도움이 됐다. 갓난아기일 때야 거의 무조건적으로 반응해주었지만, 지금은 아기가 울거나 짜증낼 때도 바로 반응하기보다 한 차례 살펴보고 있으면, 간혹 아이가 스스로 짜증을 거두고 다른 놀이를 시도한다든지 움직임의 방향을 바꾼다든지 할 때가 있다. 그러면서 부모와 아이 모두 한결 여유를 갖고 상황을 대할 수 있게 될 것 같다.
그리고 프랑스에서는 2, 3개월만 되어도 밤중수유를 끊는다는 부분은 정말 눈물을 머금고 읽었다. 이 책을 진작에 읽었더라면 나도 제때 시도해서 좀더 확실하게 끊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우리 아기는 물론 지금도 밤수유를 하고 있고, 심지어 하룻밤 사이에 열두 번도 더 깰 때도 있다(간밤이 그랬음). 이 밤중수유와 관련해서는 내 주변에서도 의견이 분분했다. 울려서라도 끊으라는 엄마, 아기가 원하는 대로 무조건 주라는 엄마, 이제 젖 끊을 때도 되지 않았느냐는 양가 어머니들. 밤중수유를 떼어 보려고 노력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밤에 아기를 울리거나 안아서 달래는 것이 너무 힘들어서 다시 주다보니 결국 이런 지경에 이르렀다. 요즘 그래서 밤수유를 어떻게 끊어볼까 고민 중인데, 이 책을 진작에 읽었더라면 아마 훨씬 더 일찍 떼어보려고 좀더 끈기를 갖고 시도해봤을 것 같다.
책의 후반기에서 다뤄지는 부모와 자녀의 독립적인 삶이라든지, 카드르(행동의 틀 혹은 경계)의 중요성, 부모의 권위 등에 대한 것들도 내게 꽤 중요한 관점을 선사해주었다. 책을 읽다가 중간중간에 서재의 밑줄긋기를 추가하고 또 추가하곤 했다. (알라딘 서재 밑줄긋기는 한 권당 50개의 밑줄긋기란을 제공한다고 하는데, 이게 모자라지는 않을까 싶기도 했더라는)
읽으면서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쳐본 경험이 육아에도 도움이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담임을 하면서 아이들에게 나의 포지션을 어떻게 세팅해야 하는지 오랜 시간 고민했었고, 차츰 나에게 어울리는 모습을 찾았으니까. 나도 연차가 쌓여가니 3월에 아이들 앞에서 웃으면 안 된다, 하는 선배교사들의 흔한 조언과는 달리 첫날부터 웃으면서 시작할 수 있을 정도의 여유가 생겼다. 그러면서도 반드시 지켜야 할 몇 가지 것들에 대한 엄격한 '규정과 규칙'을 알려주어 학급 분위기를 효율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었던 경험이 내겐 큰 자신감을 심어주기도 했다. 학급에서 금지되는 것은 그 이유를 세심하게 설명해주고, 아이들이 짜증스럽게 반응을 할 때도 인내심을 갖고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끈기 있게 알려주면 아이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받아들이게 되는 모습을 많이 보았다. (물론 그런 것따위 전혀 안 통하는 청소년들도 물론 있지요, 있고말고요)
아무튼, 부드럽고 친절하되 타협할 수 없는 몇 가지 원칙은 철저하게 적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지난 몇 년간의 경험을 통해 절실히 깨달았다. 그래서 육아에 있어서도 그런 관점을 취해야 할 것 같은데, 아기는 키워본 적이 없으니 무엇은 괜찮고 무엇은 안 되는 것인지를 미리 세울 수 없다는 점은 어쩔 수가 없네. 그래서 이렇게 대신 책으로나마 부족한 부분을 메우려고 하는 것. 완벽을 기하기 위함이라기보다는, 성심껏 아이에게 좋은 엄마, 혹은 좋은 사람이 되어주고 싶은 것뿐이다. 앞으로도 '괜찮은' 육아서들을 꾸준히 섭렵해볼 생각이다.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칠 때도 교육 에세이 중 탁월한 책 몇 권은 내게 큰 영향을 미치며 도움을 주었으니까.
처음엔 이 책을 얼른 읽고 슈퍼바이백으로 보내버릴까,도 했었는데, 아무래도 집에 두고 가끔이라도 다시 펼쳐서 읽어봐야지 싶다.
제목을 다르게 지었더라면 어땠을까도 싶다. 한국판 제목은 왠지 뭔가 파리지앵스러운 분위기의 아이를 키우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하는 내용을 담은 책 같기도 하다. (사실은 이런 제목으로 해야 더 잘 팔리려나?) 아무튼 거꾸로 나는 제목 때문에 구입을 망설였었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