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한 여자의 낭만적 딜레마
마야 스토르히 지음, 장혜경 옮김 / 푸른숲 / 2003년 4월
평점 :
품절
항상 목마르다. '나'는 과연 어떤 존재인가? 누군가 대답을 해줬으면 좋겠다. 하지만 누군가 그 물음에 답해준다면 난 '그건 내가 아닌데요'라고 반박할 것이다. 스스로 만족할 수 있을 정도로 나를 정의하는 것은 결국 내가 해야 할 일이다. 그런데 쓸만한 도우미를 찾기가 어렵다. 혼자서 겹겹이 쳐있는 껍데기를 벗고 알맹이 나와 조우하는 것은 불가능에 도전하는 것이 아닐까?
언제부턴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난 여성들에 관해 써 놓은 책들을 읽어왔다. 난 그 책들을 샘물처럼 느꼈다. 너무나 시원했다. 여성들이 겪고 있는 각종 부조리 혹은 허위를 세밀하게 분석하고 친절하게 안내하는 글들을 읽으면서 난 희열을 느꼈다. 난 남자인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 경험 때문에 난 여성을 다루는 글들(페미니즘 이론서에서 시작해서 그 외 다양한 것들까지)을 거의 항상 재미있게 읽는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더군다나 이 책은 내가 고민하고 있는 '사랑'을 다루었다. 제목도 매력적이다. <강한 여자의 낭만적 딜레마>라니... 하하 웃으면서 책을 골랐다. 역시 후반부에 약간 지루할 뻔 했지만 전체적으로 유쾌한 책이었다.
심리학을 공부한 경험이 없어서 융이란 사람이 얼마나 신뢰할 만한 이인가를 알 수는 없지만, 내가 알고 있는 이름인 것으로 보아 융이 유명인인 것만은 틀림없다. 이 책에서는 융의 심리학 이론을 축으로 '강한 여성들'이 겪는 사랑 문제를 분석해 놓았다. '외유내강'이나 '외강내유'란 말처럼 융의 정신분석에서는 겉으로 강한 여성의 무의식에 존재하는 이질적인 존재를 상정한다.
이성과 무의식 간에 존재하는 대립과 균형잡기 때문에 강한 여성들은 사랑문제로 골머리를 썩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주된 논지이다. 더군다나 강한 여성이 갖고 있는 '아니무스'와 그것의 투영으로 선택하게 되는 마초는 강한 여성들에게 받아들일 수 없는 자신과 상대이다. 저자는 완전히 혼자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여 자신의 무의식과 화해하고 억압되어 있는 무의식을 계발할 때 비로소 사랑문제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 '참을 수 없는 불일치의 무거움'은 비단 여성에게만 적용되는 주제가 아니다. 바로 이것이다. 그래서 난 여성을 다룬 글들을 읽으면서 해방감을 맛본다. 하지만 2% 부족하다. 진정한 '남성학'이 얼른 내 앞에 얼굴을 들이밀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