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탈적 금융 사회 - 누가 우리를 빚지게 하는가
제윤경.이헌욱 지음 / 부키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요람에서 무덤까지 빚으로 살아야만 하는 부채 인간의 탄생! 그 배경과 원인을 쉬운 문체와

사례로 적나라한 실체를 드러낸 저서! 빚 문제로 고통 받는 99% 대한민국 국민이 반드시 읽어야 할

교과서다.

 

"돈벌이는 부채 이자에 속박되고 일하는 즐거움은 사라진다."

 

읽는 순간, 내 이야기, 우리 집 사례라 생각이 들지만, 저자는 원인을 개인의 책임으로만 돌리는

사회에 날카로운 비판의 칼을 들이댄다. 각종 푸어를 양산하고, 가정은 파탄나며 그래서 개인이

극단적인 선택을 할 때까지 수수방관한 금융권과 정부의 책임도 더불어 따져 묻는다.

 

"등산에도 규제가 있는데 금융에는 '자율'만이......자의적인 기준으로 계급을 구분하고 오히려

사회적 약자에게 더 많은 비용을 전가하면서 부당이득을 챙겨 온 그야말로 약탈적인 금융의

모습을 제대로 보게 해 준...  상환 능력 이상을 돈을 빌려 주는 것을 '약탈적 대출 (predatory

lending)이라고 미국에서는 금융 위기 이후 규정하고 법률로 규제하고 있다"

 

엄청난 빚의 무게로 이미 삶의 질은 고사하고 최소한의 생계도 보장받지 못 하는 금융 소비자에게는 위로와 격려로 그들의 상처를 달래는 것 또한 잊지 않으며, 무엇보다 금융 소비자의 권리와

소중한 인권을 되찾자고 목소리를 높인다.

 

"자기 목소리를 내지 못하게 만들었던 열등감부터 극복하자.

 빚이 만들어지게 된 사회적 환경에 주목하자.

 빚을 권장하고 양산한 시스템에 먼저 책임을 묻자.

 빚이 발생하는 전 과정에 사회적인 책임이 있다면

 과다 채무 역시 채무자 개인만의 책임은 아니다.

 "채무자는 빚을 갚아야만 하는 의무를 갖기 이전에 사람이다."

 

또한 채무자의 상환 능력 범위 안에서 금융 행위를 하는 것이야말로 자본주의 시장 경제 발전에도 도움 되는 일이라 강변한다.

 

"과중한 빚을 상환해야 한다는 부담을 진 사람이 정상적인 소비생활을 할 리는 없잖은가"

 

문제는 이 같은 부채 문제를 어떻게 벗어나야 하는가? 혼자는 어렵다. 함께 하자고 저자는

강하게 권한다. 어차피 존재하지도 않았던 허상인 자본 소득을 쫓도록 만들고 그로 인해

힘들게 번 노동 소득을 하찮게 여기고 노동자로서의 삶도 자괴감에 빠지도록 만든 금융 권력과

맞서 싸울 방법은 "연대"와 "저항"뿐이라고 설명한다. 

 

"만약 채권자들이 채무조정협상을 거부한다면 노동자가 자본가에 맞서 파업 하듯 채무자들도 채무

상환 거부 운동을 할 수 있다. "

 

단순한 이론서나 딱딱한 경제 서적이 아닌 일상의 언어로 풀어낸 우리 시대 경제와 빚에 대한 실랄한 저서! 가족이, 부부가, 꼭 함께 읽어보고 "채무자 연대"에 동참하고 무엇보다 혼자서 이 문제를 풀려 하지 말자고 다시 한 번 강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