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 - 사회 귀족의 나라에서 아웃사이더로 살기
홍세화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혼란스럽다, 지금도 늘 끊이지 않는 시위와 파업.그것에 대한 언론과 정부의 일관된 입장. '불법파업/강경대응'. 참여정부 들어서면 좀 달라질까 했었는데, 너무도 똑같다. 난 다시 이 책을 집어들었다. 도대체 우리나라의 노동자들이 설마 집단 이기주의에 사로잡혀 나라의 국익을 담보로 불법파업을 하는 것인가하는 혼란속에서. 그러나, 홍세화씨는 분명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파업은 사회적 약자인 노동자들의 최후 선택이고 - 그 어떤 노동자가 무조건 파업을 좋아하나? - 노동 3권의 하나인 단체행동권의 핵심으로서 당연히 보장되어 마땅한 것이다. 오히려 파업 사업장에 대체 인력을 투입하는게 불법이다.'라고. 그가 23년을 살아온 프랑스의 그 화려한(?) 꿈같은 파업및 시위 현장과 그것에 대한 프랑스 정부 및 경찰들의 호위(!!)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싶지조차 않다. 너무나도 머언 이야기이므로.

하지만, 노동자들이 최소한의 생계를 꾸려나갈 일자리를 걷어차고 맨주먹으로 길위로 나왔을 때는 분명히 이유가 있을 것이다. 정부는 늘 국민의 불편과 국익에 해가 되는 파업에 대해서 불법이라고 외쳤지, 파업을 주동하는 노동자의 입장에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해 왔다. 난 노동부의 고위 관리 및 대통령께 이 책을 강력 추천하고 싶다. 물론, 분명히 남의 나라 그것도 인권과 공화국으로서의 위상이 확고하게 잘 선 나라의 이야기라 거부감이 없지 않겠지만, 최소한 '민주공화국'으로서 그리고 그런 나라로 나아가기 위해서 충심으로 해야할 본연의 입무라도 느껴봤으면 하는 바램에서다. 너무 큰 욕심일까?
그렇다면, 이 책을 한국의 시민 - 국민이 아님! - 모두가 반드시 읽고 깊이 느끼고 정말로 살기 좋은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 정녕 우리가 할 일이 무엇인가 하고 고민하고 작은 것 하나라도 실행에 옮겨 나갈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