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의 기록 - 버나드 루이스의 생과 중동의 역사
버나드 루이스.분치 엘리스 처칠 지음, 서정민 옮김 / 시공사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 우리는 거대한 힘들이 역사를 위조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 힘들은 아첨하고, 속이고, 특정 집단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골몰한다. 이기적인 동기에 의한 것이 아니더라도 이러한 왜곡은 좋을 게 하나도 없다. 역사는 집단기억collective memory이다. 인체와 비교해서 사회를 생각한다면, 역사의 부재는 사회의 기억상실증이고 왜곡된 역사는 노이로제라고 할 수 있다.
 과거를 직시하려 하지 않는 사람들은 현재를 이해할 수 없다. 또한 미래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역사학자들은 큰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도덕적이고 직업적인 책임감을 바탕으로 과거의 진실을 정확히 찾아내고, 파악한 그대로를 제시하고 설명해야 한다

p.9


버나드 루이스, <100년의 기록> 中




+) 이 책은 중동 사회를 연구하는 학자인 '버나드 루이스'가 약 100년 동안의 자신의 인생과, 자신이 연구해온 업적들, 그리고 중동지역의 역사와 사회 문제에 대해 쓴 책이다. (저자는 1916년생이다) 버나드 루이스는 자신의 어린 시절 이야기부터, 역사학자가 되기까지의 자신의 삶의 과정과 영국인인데 왜 중동의 역사를 연구하는지에 대해 서술한다. 물론 역사를 연구하면서 직면한 학문적 고민과 논쟁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그는 중동 사회의 연구를 위해 다양한 언어를 섭렵하고, 이슬람의 기원과 경전에 대해서도 공부했다. 그러나 그는 역사학자이므로 문명사에 중점을 두고 연구했다. 그는 역사의 동시대적인 흐름 속에서, 서구적인 시선을 배제한 채 중동 고유의 시각으로 그들의 문제를 바라보아야 한다며 자신을 그 안에 위치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그의 연구에 대해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다. 저자가 서구 중심적인 연구를 한다는 것이다. 그와 관련하여 저자는 비중동인으로서 중동을 연구함에 있어 자신의 역할에 대해 최선을 다했다고 주장한다. 물론 그의 견해가 전적으로 옳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비중동인으로서 중동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고, 중동 내부의 시선으로 연구하고자 노력했다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 중동의 역사에 대해, 그리고 버나드 루이스라는 학자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