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수 혁명 - 안전한 식수를 향한 인간의 권리와 투쟁
제임스 샐즈먼 지음, 김정로 외 옮김 / 시공사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한 컵의 물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관계'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어색해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내가 보기에 우리와 식수의 관계는 우리가 식수를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근본적으로 달라진다. 그리고 이 관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인류의 역사 속에서 식수는 오랫동안 갈등과 숭배, 치유와 질병의 원천이 되어왔으며, 인간의 행복과 안녕에 늘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해왔다.

p.29

 

대부분의 생수는 사실 수돗물보다 더 깨끗하고 마시기에 더 안전하겠지만 이를 확인할 길이 없다. 수돗물에 비하면 생수는 규제가 더욱 느슨하고, 감시도 더 적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표에 표시된 내용은 대게 무의미하고, 기재 사항도 적다. 일부 대규모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생수가 수돗물보다 더 많이 오염되어 있고, 때로는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예가 많다. 생수가 수돗물 보다 더 안전하다고 가정하면 마음이 편해질지 모르지만 반드시 그렇다고 생각할 만한 근거는 거의 없다.

p.271

 

 

제임스 샐즈면, <식수혁명> 中

 

 

+) 이 책의 부제처럼 '안전한 식수를 향한 인간의 권리와 투쟁'에 대해 저자는 설명한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과거에 물이란 인간에게 어떤 의미였고, 어떻게 이용해왔는지 언급한다. 그리고 현재 깨끗한 물을 구하기 위해 '생수'를 찾는 현대인의 모습을 조명한다. 그 과정에서 거대기업이 물을 독점하여 상품화하는 전략을 비롯해, 물이 인간에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이면서 악용되면 얼마나 위험한 존재인지에 대해 지적한다.

 
또한 저자는 생수를 생수병에 넣어 만드는 과정에서, 그 페트병을 만들기 위해 3, 4배의 물과 석유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또한 그로 인해 배출되는 쓰레기가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사실도 말해준다. 권리 대 시장, 인간의 필요 대 기업의 탐욕.. 저자는 그런 현상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증명하고 구체적으로 이야기 한다.

 

오염된 물도 문제지만, 물의 상품화, 그리고 물 부족 현상의 문제점들을 낱낱이 파헤친다. 이 책은 어렵지 않게, '물'에 관한 궁금증과 문제점에 대해 잘 제시한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는 '물'의 소중함에 대해 전혀 인지하지 못한다고 확신했다. 깨끗한 물을 찾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 주어진 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낭비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점을 우린 알아야 한다. 하루 정도 물 없이 살아보면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사실이다. 지금 내가 마시는 물과, 지금 내가 사용하는 물은 결국 원점에서 만나게 될 것이다.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