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세계 일주로 자본주의를 만났다
코너 우드먼 지음, 홍선영 옮김 / 갤리온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정 무역 재단은 개발 도상국의 농장을 인증하고 감사하는 세계 공정 무역 상표 협회와 별개로 운영된다. 영국 공정 무역 재단은 자신의 로고를 사용하는 영국 기업으로부터 돈을 받는다. 그 돈으로 로고를 사용하는 영국 기업을 최대한 늘리는 활동을 벌인다. 당연히 많은 기업과 계약할수록 사업은 성공적이다. 따라서 공정 무역 로고에 새로운 고객을 끌어들이는 것뿐 아니라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브랜드와 제휴를 맺음으로써 소비자들에게 공정 무역 로고를 알리는 것도 그들의 전략이다.

p.124

 

최초의 다국적 기업들은 대부분 사회적 책임을 충실하게 이행하면서도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캐드버리는 퀘이커교의 엄격한 가치관에 깊은 영향을 받아 노동자들에게 공공 주택을 제공했고, 노예를 쓰는 농장에서 생한한 코코아는 쓰지 않았다. 도브, 바셀린, 립톤 등을 보유한 다국적 대기업 유니레버는 월리엄 레버가 설립한 회사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늘 깨어 있던 그는 직원들을 위해 집과 시청, 심지어 아트 갤러리까지 갖춘 마을을 세웠다.

p.485

 

좋은 일을 하는 것보다 나쁜 일을 안 하는 게 더 중요하다.

p.489

 

변화를 바란다면 그 기본은 우리와 대기업의 관계이고, 좋은 관계가 다 그렇듯 관계의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이다. 물론 변화는 소비자의 선택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라오스와 아프카니스탄에서 보았듯이 정부에서 악랄한 관행을 금지하고 최선을 권장하는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 소비자로서 우리의 역할은, 장바구니에 넣는 윤리적 상품의 비율을 계속해서 늘리는 것이다. 또한 대기업이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도 잘 파악해야 한다. 어떤 기업이 윤리적 계획에 착수하거나 새로운 윤리적 상품 판매를 시작한다고 할 때 이를 지지하거나 지지하지 않는 것은 소비자의 몫이다. 우리 모두 의사 결정을 통해 기업을 조종해 기업의 운영 방식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 결국 책임은 우리 모두가 져야 한다.

p.503

 

 

코너 우드먼, <나는 세계일주로 자본주의를 만났다> 中

 

 

+) 이 책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고 있는 '공정무역'의 이면을 들여다본 책이다. 깨어있는 소비자라면 한번쯤 공정무역 상품에 관심을 가져보았을 것이다. 그리고 방 안 어딘가에 한 두개쯤 공정무역 상품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과연 그것이 공정하게 거래된 상품일까. 이 책은 우리가 알고 있는 공정 무역이 사실은 대기업에게 유리한 공정 무역이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저자가 세계 곳곳을 여행하며 '공정 무역' 제품으로 알려진 것들의 원료나 재료 혹은 제품의 생산 과정을 살펴본 결과 전혀 공정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열심히 일하는 생산자들에게 그만큼의 타당한 보상은 없었다. 그들이 바라는 것은 오직 하나, 자신이 하고 있는 지금의 일에서 밀려나지 않기를 바랄 뿐. 다국적 대기업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생산자들에게 최소한의 이익만을 강요한다. 그리고 그것이 공정무역이 거래가 아닌 곳에 비해 이득이 더 큼을 비교하여 자신들이 충분히 아량을 베풀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랍스터를 잡는 원주민들은 특별한 보호장비 없이 심해 깊숙한 곳으로 들어가고 그로인해 그들의 수명은 매우 짧아진다. 아편을 생산하는 농부들은 그것이 옳지 않다는 것을 알지만, 그 일 외에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특별히 없다. 정부에게 아무 것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아편을 생산할 수 밖에 없다. 중국의 노동자들은 야근을 강요받고 수없이 쓰러지며 때로는 죽어나간다. 하지만 그들 모두 생존하기 위해 견딘다. 그들이 살아갈 수 있는 방식은 그 회사에서 일하는 것 뿐이니까.

 

중요한 건 이 모든 것이 소위 공정 무역을 실시한다는 회사와의 거래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의 언급대로 이런 행태를 바꾸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공정무역을 실시하는 회사에서 진정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공정무역 광고의 효과를 노리는 것은 아닌지, 충분히 살피고 선택해야 한다. 또한 요즘처럼 인터넷이 발달한 시점에서 소비자들은 공정 무역에 관한 자신의 생각과 관심을 표현해야 한다. 기업들이 기만하는 소비자가 사실 기업들을 움직일 수 있는 가장 큰 힘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