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낯익은 세상
황석영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딱부리는 진저리를 치면서 뒤쪽으로 그 물건을 집어던졌다. 나중에야 그는 그런 것들이 찌그러진 콜라 깡통이나 잇자국이 남은 담배꽁초가 담겨 있는 소주병처럼 도시에서 버려진 것들 중의 하나에 지나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것들은 무엇이든 제각기 슬픔이나 아쉬움 같은 분위기를 지니고 있었는데, 그게 딱부리를 더욱 낯설고 무섭게 했는지도 모른다.
p.47
성으로 들어가는 문 앞에 서 있는데 뒷전에서 컬컬한 목소리가 들려온다. 얘야, 가지 마라. 그럴듯하지만 이건 꾸민 거란다. 뒤를 돌아보니 김서방네 할아버지가 서 있다. 여긴 웬일이세요? 내가 물었더니 할아버지가 말한다. 사람들이 그 길로 가다가 모두 망쳐버렸다. 지름길인 줄 알고 갔지만 호되게 값을 치를 게다. 온 세상의 산 것들과 물건들이 너와 그물처럼 연결되어 있다는 걸 잊지 마라.
p.251
황석영, <낯익은 세상> 中
+) 이 책에는 꽃섬이라 불리는 쓰레기장에서 재활용할 물건들을 골라 팔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등장한다. 딱부리라 불리는 소년은 어머니와 함께 포장마차를 하며 산동네에서 살다가, 꽃섬으로 이사를 오게 된다. 그에게 꽃섬은 냄새나고 지저분한 곳이며, 그곳 사람들의 관계가 서로 이익에 얽혀 있는 것이라는 걸 알게 된다.
꽃섬에는 폐품을 주우며 살아가는 사람들 외에, 또 다른 사람들이 등장한다. 그들을 사람이라 호칭해야 할지 정령이라 해야 할지 모르겠으나, 딱부리는 친구를 통해 그들과의 만남을 지속해간다. 그들에 따르면 살아있는 사람들은 욕심때문에 일을 망쳐버리게 되고, 그 욕심때문에 스스로를 파멸로 몰고간다고 말한다.
약간은 환상적이면서 샤머니즘적 성격을 갖고 있는 이 작품은 한 순간에 모든 것이 불길 속으로 사라지는 장면까지 도입하여 욕심의 대가가 어떤 것인지 잘 드러낸다. 그 허망하고 허탈한 심정이 이 작품 속에서, 스스로를 제법 성장한 어른이라 여기는 어린 아이의 눈을 통해 드러나는 것이다. 꽃섬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사실 사람이 존재하는 그 어디에서도 가능한 일들이 벌어진다. 황석영 작가의 몇몇 작품들과 비슷한 색깔을 간직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