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탕달의 연애론 - 새롭게 쓰는
스탕달 지음, 권지현 옮김 / 삼성출판사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사랑은 언제나 자신의 장점은 과소 평가하고 상대방의 친절을 과대 평가하게 만든다.
p.79
현재의 불행 속에서 행복했던 과거를 돌아보는 것보다 더 큰 슬픔은 없다.
p.90 - 단테, <프란체스카>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만들어낸 환상을 보고 즐기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스스로는 상대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고 있다고 착각한다. 하지만 어느 순간, 이 착각의 장막은 스스로 걷힌다. 대답 없는 사랑은 오래지 않아 지칠 수 밖에 없다.
p.116
곁에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을 느끼게 하던 사람을 잊는 것이 그토록 어려운 것은 지치지 않는 상상력 때문이다. 끊임없이 상대를 떠올리고 미화하는 것이 열정의 노예가 된 상상력의 주술이다.
p.236
스탕달, <스탕달의 연애론> 中
+) 이 책은 스탕달이 1822년에 발표한 글이다. 책을 읽으면서 요즘 젊은 사람들의 사랑에도 매우 잘 적용이 되기에, 언제적 글인가 궁금했는데. 자료를 찾아보고 깜짝 놀랐다. 정말 19세기의 글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현실적으로 사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추상적인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해 냉철하게 판단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남녀의 생각이 차이, 시각의 차이, 사랑에 대한 태도의 차이까지 저자는 훤히 꿰뚫고 있다. 당시에는 굉장이 파격적인 책이 아니었을까 싶다. 보인이 직접 연애를 하면서 겪은 것들, 그리고 타인을 관찰한 것들을 열거하며 사랑과 연애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사랑에 대한 조언이자 새로운 사랑을 찾기 전에 읽으면 도움이 될 만한 글이다.
아, 물론 현재 사랑하고 있는 연인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어찌 몇 백년이 지나도 남녀의 차이는 이렇게 두드러지나 모르겠다. 남자라는 동물과 여자라는 동물이 다르듯, 사랑에 대한 그들의 태도도 다르다. 사랑을 하며 괴로움보다 더 많은 행복을 느끼고 싶다면, 사랑의 방식을 알려주는 이 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