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식인의 서재 - 그리고 그들은 누군가의 책이 되었다
한정원 지음, 전영건 사진 / 행성B(행성비)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공부하는 능력, 다시 말해 수학 능력을 키우기 위해 제일 좋은 건 책을 읽는 겁니다. 그게 제일 확실하고 쉬운 방법이에요. 독서가 취미라고 하는 분들에게는 죄송하지만 독서는 취미라고 할 수 없습니다. 독서는 일입니다. 독서는 전략이고 독서는 치열한 삶의 현장입니다."
p.56 - 최재천
"글을 쓰는 것이 사람을 스스로 귀하게 만드나요?"
"그렇지. 글을 쓰는 게 중요한 게 아니고 글쓰기를 통해서 이 세상의 모든 사물들이 귀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거야. 왜냐하면 세상을 자세히 보아야 글을 쓸 수 있거든. 자세히 본 것을 쓰다 보면 더운 자세히 보여. 그러면 급속도로 발전이 되지. 정신적으로 풍요해지는 거야. 글쓰기가 중요한 이유는 세상 사람들에게 드러나는 모든 것이 글이기 때문이야. 자기 분야에서 앞서가는 사람들은 모두 글을 써. 글을 쓰기 때문에 앞서가는 거야. 글쓰기란 세상을 보는 눈을 갖게 하고 그것을 표현하는 힘을 주지."
p.115 - 김용택
"분노를 가지고 살아야 해요. 자기가 다스릴 수 있는 분노가 있지 않으면 부패하게 되니까 부패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자기가 다스릴 수 있는 나름대로의 분노를 품고 있는 게 중요해요. 요즘 젊은이들은 분노가 없는 것 같아요. 모든 걸 쉽게 해결할 수 있어서 그런지 욕망을 배출하는 게 너무 쉬운 세대로 보여요. 분노라는 것은 자기가 갖고 있는 것이 억압되고 배출이 되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인데, 그게 없으니 스스로 부패하고 나아가 타락하기도 해요. 어떠한 분노든 분노를 가지고 사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p.309 - 승효상
"사라지는 건 운명이에요. 그 생각의 유효기간이 거기까지인거죠. 사라지지 않고 제 머리에 남아 있으면 작품이 되는 거고 아니면 아닌 거죠. 그걸 부여잡으려고 하는 순간 글 쓰는게 고통스러워져요.
가는 건 가게 내버려둬야 해요. 그래야 사는게 즐겁죠."
p.369 -장진
한정원, <지식인의 서재> 中
+) 이 책은 이 시대 지식인이라 불리는 사람들의 서재를 방문하고 그들이 책을 좋아하게 된 과정과 그들이 책에 대해 지닌 생각들을 정리한 것이다. 분야별 지식인들이라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책에 대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또한 그들이 권하는 책 목록도 접할 수 있어서 앞으로 책읽기에 도움이 된다.
책을 너무 우위에 두어서도 안되고 너무 멀리 두어서도 안된다. 책은 가까이 곁에 두되, 벗처럼 정다울 땐 정답게, 잘못을 지적할 땐 무섭게 해야 한다. 한때 책에 대한 맹목적 믿음을 가지고 살았으나, 나는 이제 그렇지 않다. 책은 누군가의 생각에서 나온 것이므로 지식은 지식으로 받아들이고 비판해야 할 부분은 비판해야 한다.
이 책은 책에 가까이 다가설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자신의 전공 분야와 다른 분야의 책을 좋아하는 지식인을 보면서, 나는 책이 얼마나 흥미롭고 매력적인 것인지 더 이해하게 되었다. 책읽기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싶다면, 이 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