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미친 사내의 5년 만의 외출
에두아르도 멘도사 지음, 조구호 옮김 / 시타델퍼블리싱(CITADEL PUBLISHING)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하지만 당신은 이 사회에서 모든 걸 박탈당한 채 살아가는 사람들의 유일한 무기가 진실이라는 것을 믿어야 하며, 당신의 오해가 잘못(mistake)라는 것을 알아야 해요. 적절한 비유가 될지 모르지만, 깐디다 누나는 수그라녜스 박사 같은 인간들이 휘젓는 붉은 천에 놀아났던 때를 제외하고는 항상 빌어먹을 사회 제도로부터 소외당하며 살아왔소."

p.57

 

"여자들은 다 저렇소. 모든 걸 완벽하게 해줘도 불평, 조금 느슨하게 해줘도 불평, 늘어놓는 것은 오로지 불평뿐이오. 우리 남자들은 모든 것을 책임지고, 모든 것을 결정해야 하지만, 여자들은 그저 결과만 놓고서 이러쿵저러쿵 떠들길 좋아해요. 일이 잘되면 까짓 거 대수롭지 않는 것이고, 만에 하나 잘못되면 무능하다고 탓한다, 이거요."

p.185

 

역시 나는 한 가지 일에 매달리거나 사소한 일로 오늘 당장 지구가 멸망할 것처럼 고민하는 스타일이 아니었다. 오늘이 아니면 내일이 있듯, 진정한 나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날은 얼마든지 많지 않은가. 아니 그런 기회가 오지 않더라도, 나는 얼마든지 그런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지 않은가.

p.227

 

 

에두아르도 멘도사, <외출> 中

 

 

+)  이 소설은 정신병원에 수용된 한 사내가 바르셀로나 수녀회 학교에서 발생한 '여학생 행방불명 사건'의 미스터리를 풀어내는 적임자로 선택되면서 시작된다. 사내는 '의도적으로 부여된' 기회를 통해 잠시 밖으로 외출하고, 바르셀로나를 돌아다니면서 자유를 만끽하고, 사건을 해결하는 탐정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돈키호테>를 읽으며 호탕하게 웃었던 기억을 떠올렸다. 이 작품은 비정상인 정신병자를 주인공으로 세웠지만, 사실 그가 비정상이 아니라 그 주변인들이 비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상인이라고 믿는 그들의 삶은 자신의 욕망과 욕심에 얼룩져 있는 모습이다.

 

주인공은 비논리적이고 비상식적으로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상당히 논리적인 대사와 행동을  하고 있다. 이는 작가의가 의도한 풍자적 기법인 듯한데, 독자에게 유쾌한 웃음을 선사하다. 짧은 소설이지만 영화로 제작된다면 무척 흥미롭지 않을까 생각했다. 추리 소설, 피카레스크 소설이 읽고 싶다면 이 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