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상에서 철학하기 - 낯익은 세상을 낯설게 바꾸는 101가지 철학 체험
로제 폴 드르와 지음, 박언주 옮김 / 시공사 / 2012년 9월
평점 :
과부하가 걸려버려서 시도 때도 없이 발생하는 변수들과 그 많은 자료들을 모두 감당하기란 너무 어려운 일이다. 이래서야 제대로 일을 할 수 있을까. 의심이 들 정도로 긴장과 피로와 신경질이 극에 달한 순간, 이번 체험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일 먼저 자신에게 물어보라. "내가 오늘 아침에 어디 있었더라?", "오늘 첫번때 약속은 뭐였더라?", "어젰밤 누구랑 있었더라?" 기타 등등. 생활패턴에 따라 질문은 다양해질 수 있다.
p.42 -갑작스러운 질문 던져보기
겉으로 보기엔 전혀 특별할 것이 없다. 천까지 세자면 약 15분. 즉 900초 정도의 일정한 시간이 걸릴테고 지루함이 몰려올 것이다. 언뜻 이 체험은 뻔하고 단조로워 보인다.
당신은 드디어 천의 고지에 도착했다. 무엇을 배웠는가. 아마 단 하나, 천이라는 수가 굉장히 큰 수라는 사실을 깨달았을 것이다. 어쨌든 천까지 세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 하지만 15분은 족히 걸리는 일이고, 술술 잘될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그리고 천까지의 숫자를 한눈에, 한꺼번에 파악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p.85 -천까지 세어보기
상상력이란 현실에 덧붙여지는 것, 혹은 현실과 대립되는 것, 현실과 모순되는 것, 현실을 감추는 것이 결코 아니고 그래서도 안된다는 사실이다. 오히려 현실 그 자체를 상상계로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p.178 - 상상의 숲 거닐기
로제 폴 드르와, <일상에서 철학하기> 中
+) 이 책은 '철학'이 무겁고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곁에 가까이 있고 일상에서 얼마든지 경험할 수 있는 것임을 드러낸다. 즉, 철학을 이론이나 개념이 아니라 '체험'으로 이끌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저자가 권한 여러가지 방법들을 한번 따라해보았는데, 저자의 말대로 그런 행동을 하고보면 그간 내가 생각하던 것들에서 조금 비껴나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를 발견하고, 나를 찾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했을까. 저자의 언급대로 빈 방에서 자기 이름을 불러보기도 하고, 나를 찾는 헛수고를 통해 결국 내가 찾는 나는 '생각 속의 나'일 뿐이구나 라는 점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런 과정 속에 있다. 이 책은 무작정 철학의 개념들을 언급하기보다, 독자들 스스로 체험을 통해 철학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가벼운 마음으로 읽기에 좋다. 청소년을 비롯해서 성인이 읽어도 무방하다. 하지만 이 책 속에서 철학적 개념이나 지식을 얻길 바라는 사람은 다른 책을 읽어라. 이 책 속에 개념은 없다. 이 책 속에는 개념이 녹아나는 일상의 철학만 있을 뿐이니까. 오늘 나는 천까지 세어보기를 경험하고자 한다. 그럼 천이라는 숫자가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 되지 않을까. 참 기발하다. 이 책에는 기발하고 신선한 생각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