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아니야
얀네 텔러 지음, 이효숙 옮김 / 솔출판사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만약 무언가가 화를 낼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라면, 그 무언가는 기뻐할 만한 가치도 있는거야. 만약 무언가가 기뻐할 만한 가치가 있는 거라면 그 무언가는 의미가 있는 거야. 하지만 그럴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는걸 ... 몇 년 후면 너희는 모두 죽고 잊혀져서 아무것도 남지 않게 될 거야. 그러니까 너희도 아무것도 없게 되는 연습을 지금 당장 시작해보는 게 좋을 텐데."

p.12


"의미는 의미야. 그런데 너희가 정말로 의미를 발견했다면 그 의미를 늘 갖고 있을 테지. 그리고 전 세계 언론은 너희가 발견한 것이 무엇인지 이해해 보려고 여전히 여기에 있었을거야. 그런데 그들은 이제 여기 없잖아. 그러므로 너희가 발견한 것이 무엇이든 간에 그것은 의미가 아니었던 거야. 왜냐하면 바로 그 의미가 지금 존재하지 않으니까!" -

p.146

 

 

얀네 텔러, <아무 것도 아니야> 中

 

 

+) 이 책은 삶에 있어서 가장 소중한 것, 그리고 의미있는 것, 그리고 결국에는 아무 것도 아닌 것 등등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보았을, 그러나 쉽게 결론내지 못했을 그런 화제에 대해 집중하고 있다. 어린 아이들이 자신들이 가장 가치있는 것과 의미있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그것을 드러내는 방식이 단순하지만 잘 드러난다.

 

하지만 이 작품은 청소년 소설이라고 하기에는 굉장히 극단적이고 잔인하다. 마치 영화로 만들면 희대의 파격적인 작품이 될 정도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기에는 매우 잔인하다. 소름끼치도록 말이다. 책을 읽는 내내 두려웠다. 이 소년과 소녀들의 끝에 남게 될 허무와 공허는 어쩌란 말인가.

 

이 작품은 작품성 측면에서 높이 인정받아 좋은 상을 받았다. 아이들의 기준으로 '의미있는 것'에 대해 생각해본다는 과정은 흥미로웠으나, 그 방식을 이끌어가는 스토리가 잔인하기에 나는 사실 좀 의문이 든다. 그러나 그건 어쩌면 문화의 차이는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하긴,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을 다 읽고 느껴지는 두려움과 찝찝함은 어쩔 수가 없다.) 이 책은 오히려 청소년보다 어른들이 읽는게 낫지 않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